개성공단 일부 업종이 지난 2013년 공단 가동중단 사태의 후유증을 여전히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남북 교역액은 개성공단의 재가동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가 30일 발간한 ‘2015 통일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남북 교역액은 23억 4천만 달러였습니다.
5·24 대북 제재 조치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개성공단 교역액이 23억3천700만 달러로 전체 남북 교역의 99.8%를 차지했습니다.
이 같은 수치는 북한이 미-한 합동군사훈련 등을 이유로 한동안 공단 가동을 중단시켰던 지난 2013년과 비교할 때 두 배가 넘는 액수입니다.
한국 민간연구기관인 IBK경제연구소 조봉현 박사입니다.
[녹취: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박사] “5.24 조치 이후에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 교역이 막히면서 사실상 개성공단이 남북 교역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남북관계에 여러 가지 우여곡절이 있지만 개성공단은 이런 정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나름대로 경쟁력을 갖추면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당시 가동중단의 상처가 아직도 깊게 남아 있는 업종이 있습니다.
가동중단 사태가 있기 전인 2012년과 지난해를 비교할 때 섬유와 기계는 생산액이 늘었지만 전기와 전자, 화학은 20 ~30% 줄었습니다.
넉 달이 넘는 공단 가동중단으로 발길을 끊은 해외 구매업체들의 상당수가 아직 돌아오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개성공단 기업협회 유창근 부회장입니다.
[녹취: 유창근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 “섬유봉제 쪽은 리스크가 끝나고 나니까 바이어들이 다시 찾아오는 상황이 됐는데 전기, 전자나 화학 등 장치산업 쪽은 한 번 옮겨 가면 그쪽에서 되돌아 올 수 있는 상황이 못돼서 결국 피해가 컸어요.”
이 때문에 일부 전기, 전자 업체들이 섬유봉제 쪽으로 업종을 전환했거나 이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 부회장은 개성공단에서 중단과 재가동이 반복되면 겉으론 원상회복이 되는 것 같지만 공단 전체로는 조금씩 골병이 들게 된다며 북한의 일방적 임금 인상 통보로 촉발된 최근 갈등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우려했습니다.
한편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 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5만 3천9백여 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성시내는 물론 인근 장풍군과 개평군 등 11개 지역에서 출퇴근 버스가 운행되고 있습니다. 기숙사 시설이 없어 외곽의 시골 지역에서 출퇴근하는 근로자가 늘어난 때문입니다.
이와 함께 2013년부터 2년 동안 개성공단의 진료소에서 치료받은 남북한 인력은 모두 6만 6천 명이 넘었습니다. 이 가운데 산부인과 진료가 32%, 외과가 28%를 기록했습니다.
근로자 대부분이 여성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북한 내의 열악한 여성보건 의료 실태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