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한국, 일본 세 나라의 북한에 대한 압박 강화 기조에 중국과 러시아가 이견을 나타냈습니다. 북 핵 문제를 푸는 미-한-일의 접근법을 추진하는 데 적지 않은 부담이 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에 대한 압박과 제재를 강화하기로 의견을 모은 미-한-일 세 나라 북 핵 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이례적으로 중국을 동시 방문해 중국의 동참을 적극 촉구했습니다.
28일 우다웨이 한반도사무 특별대표와 베이징에서 회동을 가졌던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이 대북 압박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밝혔습니다.
성 김 대표는 미-한-일이 제기한 대북 압박 강화 필요성에 중국도 압박이 전반적인 대북접근법에서 중요한 부분이 돼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고 말했습니다.
성 김 대표는 중국이 새로운 대북 제재에 참여할 지를 묻는 질문엔 지난 수 년 간 중국이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를 더욱 강력하게 실행해 온 것을 지켜봤다고 우회적으로 답했습니다.
하지만 중국 외교부는 이날 성명에서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대북 압박과 제재 강화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도 대북 압박에 동의했다고 한 성 김 대표의 발언을 평가해 달라는 질문에, 유관 각국은 마땅히 짊어질 공동의 책임이 있다며 각국의 정당하고 합리적인 우려를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 “~~~~~”(chinese language)
화춘잉 대변인은 북 핵 문제는 공동의 책임이기 때문에 각 국가가 건설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중국은 책임감 있는 대국으로서 북 핵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하기 위해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외교가에선 성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해 중국이 미-한-일의 대북 압박 강화 기조에 동조했다기 보다는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안을 충실히 이행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데 의미를 둔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황준국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28일 베이징에 도착해 우다웨이 한반도사무 특별대표와 회동하고 북한의 도발 억지와 북 핵 능력 고도화 저지, 그리고 대화로의 복귀 유도를 위한 중국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중국 측은 이 자리에서도 대북 제재와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 시큰둥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앞서 지난 25일 일본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하라 준이치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도 베이징에서 우 대표와 회동했지만 중국 측의 반응은 비슷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북 핵 6자회담 참가국 중 북한을 제외한 5개국 6자회담 차석대표들은 28일 도쿄에서 열린 동북아시아협력대화 (NEACD)에 참석했습니다.
특히 이 행사에 참석한 러시아 측 6자회담 차석대표 그리고리 로그비노프 특임대사는 자국의 `리아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한-일의 대북 압박과 제재 강화 방침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로그비노프 특임대사는 북한에 대한 압박 강화 발언은 비건설적이며 어떤 긍정적 결과도 가져다 주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의 등 뒤에서 핵 문제와 관련한 어떤 담합이 이뤄지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모든 당사국의 실질적 우려를 고려해 정치군사적 긴장 해소를 위한 구체적 행동이 이뤄져야 한다며 현재 적극적 군사 활동은 북한 뿐아니라 모든 당사국들이 진행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미-한 연합군사훈련과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논의 등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한국의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김용현 교수는 중국과 러시아의 태도가 미-한-일의 압박 강화를 통한 대화 유도라는 대북 접근법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녹취: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중-러 입장과 한-미-일 입장이 압박과 관련해서 온도차가 크게 있다는 것은 결국 핵 문제를 풀어가는 접근법상 계속 압박 일변도로 가는 데 대한 상당한 부담을 줄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습니다.”
미-한-일 세 나라 6자회담 수석대표들은 최근 서울에서 3자 회동을 열어 북 핵 문제와 관련해 탐색적 대화 시도 노력을 하면서도 대북 압박과 제재를 강화해 북한의 회담 복귀 압력을 가중하기로 의견을 모았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