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판문점 회동에 대해 미국 전문가들은 미-북 관계의 개선을 의미한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앞으로 예정된 실무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 의지를 보여줄지가 관건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조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판문점 회동을 통해 미국과 북한은 양국 관계가 진전됐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줬다고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이 평가했습니다.
[녹취:베넷 연구원] “That’s What President Trump did this time. He was according to American culture acting like Kim Jong Un was a close friend.”
베넷 연구원은 1일 VOA와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인들이 다른 곳을 방문했을 때 마지막 순간에 연락해 친구와 친척들을 만나는 것은 매우 친밀한 사이임을 보여준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문화에 비춰볼 때 김정은 위원장이 매우 친한 친구인 것처럼 행동했다”고 말했습니다.
미 국익연구소의 해리 카지아니스 한국 담당 국장도 VOA에,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만남 자체가 엄청난 돌파구였다”며 “매우 짧은 시간에 남-북-미 정상의 만남이 성사된 것은 평화를 향한 역사적 발걸음”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정상 간 깜짝 만남이 양국 관계의 근본적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녹취: 스나이더 연구원] “You know the hard of changing the relationship, it really has to be done between governments and not just between leaders.”
스콧 스나이더 미 외교협회 선임연구원은 “미-북 관계를 변화시키는 힘든 작업은 정부와 정부 사이에 진행돼야 하는 것이며, 정상들만 따로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만남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전략적 이익의 공통분모로 성사됐다며, 김 위원장은 하노이 2차 정상회담 실패의 이미지를 지울 수 있었고,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이야기를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미-북 정상이 비핵화 실무 협상 재개에 합의했지만, 앞으로 진전 여부는 여전히 북한의 의지에 달린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두 정상이 실무 협상 재개에 합의한 것은 다시 출발선으로 돌아간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6월 싱가포르 1차 정상회담에서도 실무 협상을 약속했었다는 것입니다.
[녹취:클링너 연구원] “The biggest challenge will be as it’s always been, getting North Korea to agree to what it previously agreed to in eight international agreements as well as agreed to comply with the 11 UN resolutions which require it to abandon its nuclear missiles and BCW programs.”
클링너 연구원은 “항상 그래왔듯이 앞으로도 (협상에서) 가장 큰 난관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 생화학 프로그램을 폐기하도록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라면서, 북한은 이미 8개의 국제 합의와 11개의 유엔 결의안에서 이런 약속을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클링너 연구원은 미국과 북한이 협상의 당사자들이라고 해서 꼭 양측의 입장의 중간지대에서 만나야 되는 것은 아니라며, 북한이 국제사회의 일치된 (비핵화) 의견을 따르겠다는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스나이더 연구원은 미국과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입장차가 확연히 드러난 이상, 진전을 내기 위해서는 비핵화의 범위에 대해 합의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인 과제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실무회담을 성공을 위해서는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에게 김정은 위원장과 직접 만나 협상할 정도의 권한을 부여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베넷 연구원은 앞으로 실무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비핵화 결단을 실제로 이행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측 실무대표들이 비핵화 조치에 합의할 만한 권한을 갖든지, 김정은 위원장 본인이 비핵화 지시를 내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조은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