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침공 이후 약 14개월동안 우크라이나에서 민간인 약 8천500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가 11일 밝혔습니다.
OHCHR은 지난해 2월 24일부터 올해 4월 9일까지 우크라이나 곳곳에서 벌어진 무력 충돌 여파로 민간인 사상 총계 2만2천734명이 기록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가운데 사망자는 8천490명, 부상자는 1만4천244명으로 분류했습니다.
하지만 마리우폴과 세베로도네츠크 등 러시아군이 접근을 차단하는 곳들의 정보가 지연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수치는 현저히 더 높을 것이라고 OHCHR은 덧붙였습니다.
이번 전쟁에서 가장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와 루한스크주에서 3천927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 "우크라이나 방공 전력 붕괴"
우크라이나에 신속히 무기가 추가 공급되지 않으면 핵심 대공 방어 전력이 조만간 무너질 수 있다는 분석이 최근 유출된 미국 기밀 자료에서 드러났습니다.
뉴욕타임스 등 10일자 보도를 종합하면, 미 정보당국은 우크라이나군이 보유 중인 옛소련제 S-300 대공미사일 비축량이 다음달 3일, 그리고 부크 대공미사일이 이달 중순쯤 고갈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두가지 대공방어 체계는 우크라이나군 중장거리 대공방어전력의 89%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방공망이 가동을 멈추면 군사목표물과 민간 기반 시설 등을 겨냥한 러시아의 폭격 등에 대응할 수 없게 됩니다.
현재 우크라이나 방공망은 러시아군이 드론과 미사일을 통해 공습을 거듭한 탓에 크게 소모된 상태입니다.
우크라이나의 대공방어망은 주로 최전방 부대를 보호하도록 배치돼 있습니다.
그러나 탄약이 고갈되면서 최전방 대공방어망은 다음 달 23일 완전히 붕괴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미 정보당국은 평가했습니다.
이런 경우 우크라이나 영토 안쪽 대공망까지 방어 부담이 전가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같은 분석은 유출 문건 생산일인 지난 2월 28일 당시 탄약 소비량을 기준으로 한 평가입니다. 이후 탄약 소비량이 더 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고갈 예상 시점은 더욱 앞당겨질 수밖에 없습니다.
■ 당국 부인 안해
우크라이나 군 당국은 탄약 부족 상황을 부인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서방의 지원으로 유지 보수가 가능한 수준에서 지탱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우크라이나 공군 대변인은 "서방 지원으로 새로운 방어체계가 전달돼 이미 사용된 탄약과 무기를 대체할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에 밝혔습니다.
그러면서도 "그들(소진될 물량)을 완전히 대체하려면, 무기가 상당수 들어와야 한다"면서, 지속적인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러시아 공군 전력 아직 건재
반면 러시아의 공군 전력은 상당히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마크 밀리 미 합참의장은 지난 2월 MSNBC 인터뷰에서 러시아군이 이번 전쟁에서 큰 타격을 입었다면서도 "러시아 공군은 그렇지 않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또 다른 유출 기밀 자료를 통해 현재 우크라이나에 배치된 러시아 전투기가 총 485대에 달해, 85대를 운용하는 우크라이나의 6배 가까이 된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면 침공한 직후 러시아 지상군 전력이 수도 크이우(러시아명 키예프) 함락에 실패하자, 상당수 군사 전문가들은 미그(MiG)기와 차세대 수호이(Su) 전투기를 등을 앞세운 러시아 공군이 승리를 위한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방공망이 러시아의 공세를 비교적 효율적으로 막아내면서, 지금까지 1년 이상 방어를 지속했습니다.
■ 젤렌스키도 도·감청 대상
한편 이번 기밀 문서 유출로, 미국 정보당국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까지 도·감청 대상으로 삼았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같이 보기: 미국 기밀 문건 잇따라 유출...우크라이나 외 중국·중동 관련 자료 소셜미디어에 퍼져주요 매체들이 입수한 유출 자료에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의 러시아 본토를 무인항공기(UAV·드론)로 타격하는 방안을 검토한 정황이 담겨 있습니다.
앞서 미 정보기관이 생산한 기밀 문건이 잇따라 온라인에 유출된 데 관해, 러시아 등 적성국 뿐 아니라 한국과 영국 등을 비롯한 동맹국도 첩보 대상이었던 것으로 파악되면서 각국이 대응에 나선 바 있습니다.
같이 보기: CIA 자료 등 미국 기밀 유출 파장 "한국·영국·이스라엘 등 동맹국 감청 사실 드러나"VOA 뉴스 오종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