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납북자 가족들이 피해자 생사확인과 송환을 위한 지원을 호소하는 서한을 미 국무장관에게 보냈습니다. 미한일 정상이 지난 8월 납북자 문제를 적극 해결하기로 합의한 데 대한 기대감도 표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을 방문한 줄리 터너 신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18일 서울에서 납북자 가족들을 만났습니다.
이 자리에서 납북자 가족들은 미국 정부의 지원을 호소하는 서한을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에게 전해달라며 터너 특사에게 건넸습니다.
최성룡 전후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이사장은 서한에서 먼저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미국 정부의 노력에 감사를 표했습니다.
[서한] “I sincerely appreciate your effort to enhance the human rights situation of the DPRK as well as the Department of State’s inclusion of abduction issues in the annual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as it relates to the DPRK.”
이어 “북한이 자행한 한국 민간인 납치 문제를 북한의 인권 문제를 논의하는 국제 외교 무대에서도 다뤄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특히 “한국인 납치 문제가 일본인 납치 문제만큼이나 비중있게 언급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서한] “Firstly, I would like to request that you consider the issue of abductions that are committed by the DPRK, victims of which have been civilians of the ROK, and to bring this forward in the diplomatic arena where the DPRK’s human rights issues are discussed. Secondly, I would like to seek your assistance in mentioning this issue as heavily as Japanese abduction issues are.”
최 이사장은 서한에서 “1953년 정전 이후 1990년대까지 516명이 납북됐지만 현재까지 소재가 확인되거나 고국으로 돌아온 사람은 거의 없다”며 “많은 가족들이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비극 속에 고통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서한] “From the end of the Korean War (1953) to the early 1990s, there were 516 victims of abductions and enforced disappearances from the ROK territory, which included my father, that were committed by the DPRK authorities. However, as of now, there have been few people whose whereabouts were confirmed or who fled to their motherland, the ROK. As a result, many families had to suffer the tragedy of losing their loved ones.”
그러면서 “외국인뿐 아니라 한국 민간인 납치를 자행한 북한은 반인도 범죄로 비난받아야 한다”며 “(블링컨 장관이) 북한 당국자들과의 대화나 접촉에서 일본인 납북자 송환과 함께 한국인 납북자 516명의 생사 확인과 송환을 촉구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VOA는 국무부에 이번 서한과 관련한 입장을 묻는 이메일을 보내고 현재 답변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한편 최 이사장은 이날 VOA와의 통화에서 “북한이 일본에는 납북자를 돌려보내주면서도 한국 납북자에 대해서는 생사 여부도 제대로 확인시켜주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최 이사장] “김정일이가 2002년도 고이즈미한테 준 서류입니다. 북한이 일본한테. 그 서류 내용을 보십쇼. 보면 뭐라고 써있나. 세상에 저렇게 자세히 써있습니다. 일본은 왜 귀국까지 시킨다고 이렇게 끄트리에 써있어요. (터너 특사가) 보더라. 그래서 내가 그러면 그 다음 거 보세요. 그건 이민교라고. 평양에 사는 학생입니다. 21명. 그 학생이 ‘확인불가(능)’ 다섯자만 딱 알켜 줍니다.”
앞서 북한 적십자회가 2002년 9월 17일 일본 적십자사 앞으로 보낸 문서를 보면 새로 확인된 생존자와 사망자 신원을 공개했고, 여기엔 납북자 이름과 생일 또는 사망일 등이 기재돼 있습니다.
반면 2013년 북한 적십자사가 고교생 납북자 이민교씨의 어머니 김태옥씨에게 보낸 생사여부 확인 요청에 대한 답변에는 ‘확인불가능’ 다섯 글자만 적혀 있습니다.
최 이사장은 “아흔이 넘은 이민교씨 어머니 김태옥씨가 2018년 문재인 당시 대통령에게 ‘죽기 전에 아들 얼굴 한번 볼 수 있게 도와달라’는 편지를 보냈지만 5년째 답장이 없다”며 “이제는 한·미·일 3국이 납북자 문제를 해결하기로 한 만큼 연로한 어머니들이 자식 얼굴도 못 보고 돌아가시기 전에 생사확인과 송환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앞서 미한일은 지난 8월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 북한 내 인권 증진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납북자와 억류자, 국군포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북한은 납북자의 존재를 부인하며 억류자 생사 확인 등에 일체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북한이 한국전쟁 중 약 10만 명의 한국민을 납치하고 정전협정 체결 이후에는 3천835명을 납치했으며, 이 가운데 516명이 아직도 북한에 억류돼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VOA 뉴스 안준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