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처음으로 다탄두 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공개하고, 해당 시험이 성공적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미사일이 발사 초기 단계에서 폭발했다며 북한의 주장은 기만과 과장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북한 대외관영 ‘조선중앙통신’은 “미사일총국이 26일 미사일 기술력 고도화 목표 달성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는 개별기동 전투부 분리와 유도조종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27일 밝혔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시험 목적에 대해 “다탄두에 의한 각개 표적 격파 능력을 확보하는 데 있다”며 “무기체계들의 기술 고도화를 위한 미사일총국과 관하 국방과학연구소들의 정상적인 활동의 일환”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북한은 2021년 1월 제8차 노동당 대회에서 “다탄두 개별유도 기술을 더욱 완성하기 위한 연구사업을 마감 단계에서 진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는데, 다탄두 미사일 시험이 보도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시험이 “중장거리 고체 탄도미사일 1계단 발동기를 이용해 최대의 안전성을 보장하며 개별기동 전투부의 비행특성 측정에 유리한 170~200km 반경 범위 내에서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또 시험 과정에서 분리된 탄두들이 “설정된 3개의 목표 좌표점들로 정확히 유도”됐다며, “미사일에서 분리된 기만체의 효과성도 반항공 목표 발견 탐지기들을 동원해 검증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미사일총국은 해당 기술 시험이 본격적인 시험 단계에 들어갔다고 밝혔고, 시험을 참관한 박정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등은 이 무기체계가 “당 중앙이 제일로 관심하는 문제”라며 기만체의 효과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과학기술적 대책을 세우라고 말했습니다.
‘당 중앙의 제일 관심’이라는 표현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관심사라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북한이 말하는 개별기동 전투부는 영어 약자로 ‘MIRV’라 불리는 ‘다탄두 각개목표 재돌입체’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미사일 동체에 실려 발사된 여러 개의 탄두가 각기 개별적인 목표를 향하면서 대기권으로 재진입한다는 뜻으로, 여러 표적을 동시에 공격할 수 있어 핵과 미사일 능력 고도화 과정에 중요한 단계로 여겨집니다.
한국 군 당국은 북한의 이 같은 주장에 허점이 많다고 반박했습니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기만과 과장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며 해당 미사일이 다탄두 분리에 성공한 게 아니라 발사 초기 단계에서 폭발했다는 분석 결과를 밝혔습니다.
[녹취: 이성준 공보실장] “가장 중요한 것은 다탄두가 분리되는 것은 하강 단계에서 분리가 됩니다. 그런데 말씀드린 대로 북한은 어제 비행 초기 단계에 폭발을 했습니다. 그래서 그것이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합참은 앞서 26일 평양에서 발사된 북한 미사일이 250km가량 비행해 원산 동쪽 해상에서 공중폭발해 파편으로 흩어졌다고 밝히면서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가 실패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북한 매체가 공개한 발사 장면 사진을 토대로 이번 미사일이 지난해 3월 발사한 화성-17형 액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유사한 형태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이번 미사일이 고체연료 미사일이라고 밝혔고 실제 사진에서도 미사일 밑에 형성된 화염이 고체연료 연소 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사방으로 넓게 퍼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때문에 과거 미사일 발사 장면과 이번 발사를 합성한 사진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됩니다.
하지만 북한이 ICBM보다 사거리가 짧은 미사일에 고체연료 추진체를 달아 제한적 수준에서 다탄두 미사일 시험을 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밝힌 170~200km 반경은 대기권 밖까지 상승했다가 개별 탄두를 분리하는, 제대로 된 MIRV 기술을 실험하기에 너무 짧다고 보고 있습니다.
일본 당국은 북한 미사일의 정점 고도가 100km 수준이었다고 밝혔는데 이 또한 MIRV를 실험하기에는 낮습니다.
한국의 민간 연구기관인 아산정책연구원 양욱 박사는 북한의 기존 ICBM 시험발사 방식인 고각발사로는 정상각도 발사 때의 다탄두 능력을 검증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이 때문에 1단 고체연료 엔진만으로 추력을 줄여 시험했지만 이는 대기권 밑에서 이뤄지는 시험이라는 한계가 있다고 양 박사는 설명했습니다.
[녹취: 양욱 박사] “문제는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받는 여러 악조건들을 극복했는지는 평가할 수 없다는 겁니다. 즉 대기권 아래에서 다탄두 비행을 모사하는 데는 성공했기 때문에 제한적 성공으로 볼 수 있지만 결국 대기권 내 추가적 시험비행이 필요할 것으로 봅니다.”
장영근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실제 ICBM에서 요구되는 고도에서 충분한 유도제어 능력을 갖춘 MIRV 시험을 모사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며 “북한은 저고도에서 개발 중인 후추진체(PBV)의 유도제어 시스템 능력을 검증하는 게 일차적 목표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북한이 화성-17형과 화성-18형 등 기존 ICBM에 탑재할 MIRV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낮은 고도에서 PBV 기술 등에 국한한 시험에 나선 것일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권용수 국방대 명예교수는 북한의 MIRV 기술 수준이 요소 기술을 넘어 시스템 성능을 테스트하는 단계로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은 ICBM 정상각도 발사가 어렵지만 앞으로 사거리 1천km 정도 내에서 고도를 높이는 추가 시험발사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북한의 다탄두 미사일 기술이 ICBM에 적용될 경우 미국도 무시할 수 없는 위협이 될 것이라는 관측입니다. 미사일 1발로 워싱턴과 뉴욕 등 주요 도시를 동시에 타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권용수 명예교수입니다.
[녹취: 권용수 명예교수] “무기로서의 가치 측면에서 보면 결국 탄두가 목표까지 살아서 들어가야 돼요. 그런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게 다탄두 개별목표 설정 재진입체, MIRV인 거죠. 그게 아니면 사실 미국과 같은 조밀한 미사일 방어망을 뚫고 들어가기가 거의 힘들다고 생각하면 돼요.”
북한은 이런 미사일 도발과 함께 한국을 향해 사흘 연속 오물 풍선을 살포하면서 복합 도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 합참에 따르면 26일 밤부터 27일 오전 9시까지 모두 180여 개의 북한 오물 풍선을 식별했습니다.
한국 지역에 낙하한 오물 풍선은 70여 개로, 주로 경기 북부와 서울 지역에서 발견됐고 풍선 내용물의 대다수는 종잇조각이라고 합참은 밝혔습니다.
북한은 지난 24일엔 350여 개, 25일 250여 개, 그리고 26일엔 180여 개의 오물 풍선을 살포했습니다.
한국 정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 조한범 박사는 한국 내 민간단체들이 최근 연이어 대북 전단을 보낸 데 대해 북한이 비례적 대응을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조한범 박사] “북한이 수십배 대응을 한다고 그랬거든요. 그러면 이틀에 걸쳐 자유북한운동연합이 10개, 국민계몽운동본부 59개 그러면 거의 70개인데 10배 만 보내도 700개거든요. 북한 입장에서 보면 대규모 전단 공격을 받은 셈이 되거든요.”
이성준 공보실장은 북한의 연이은 풍선 살포에도 자숙기간을 주기 위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했지만 앞으론 확성기 방송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이성준 공보실장] “만일 북한이 종이를 넣은 쓰레기 풍선을 계속 보낸다면 우리는 확성기 방송을 재개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실장은 다만 27일엔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실시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한국 민간단체들의 대북 전단 살포에 맞대응한다는 이유로 지난달 28일부터 7차례에 걸쳐 한국에 오물 풍선을 보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