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의 영 김 하원의원이 한국의 비상계엄에 따른 대통령 탄핵 소추와 체포 등 일련의 과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민주적 절차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20일 출범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당국자들과도 최근 한국 상황에 대해 논의했고, 이들은 한국의 민주적 절차에 대한 지지 입장에 공감했다고 전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선명)
퇴임을 앞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국방부에서 열린 고별 행사에서 미한일 3국 협력 구축을 지난 4년 간의 주요 안보 성과로 꼽았습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도 미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지위를 공고히 하는 데 한국, 일본 등과의 동맹 강화가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선명)
조 바이든 대통령이 미한일 3자 협력 구축을 지난 4년 간 주요 안보 분야 성과로 꼽았습니다.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도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 강화가 바이든 정부의 큰 성과 중 하나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공화당의 영 김 하원의원이 한국의 비상계엄에 따른 대통령 탄핵 소추와 체포 등 일련의 과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민주적 절차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김 의원은 16일 VOA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 보좌관들과 최근 한국 상황에 대해 논의했다면서, 이들이 한국의 민주절 절차에 대한 지지 입장에 공감했다고 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국무장관으로 지명된 마르코 루비오 지명자가 상원 인준청문회에 출석했습니다. 북한 문제와 관련해 루비오 지명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권력 유지 방법을 찾는 독재자로, 핵무기를 권력 유지 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미국의 대북 정책에 대해서는 북러 군사협력 문제를 거론하면서 우발적 전쟁을 막기위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김정은 ‘40대 독재자’…‘핵무기’ 권력 유지 보험 / 한국 ‘민주적 기반의 힘’ 대응…‘미한일 협력’ 중요 / 유엔 “북한 ‘안보리 결의’ 준수 촉구”…EU “북한 강력 규탄” / 죽음의 백조 ‘B-1B 랜서’…‘한반도 인근 해상 전개’ 훈련 / ‘북한 사이버 범죄’ 경고…미한일 3국 공동성명
워싱턴의 전문가들은 윤석열 한국 대통령을 겨냥한 야당의 특검법안에 대북전단 살포, 확성기 가동, 우크라이나 파병 등이 포함된 데 대해 이는 합법적인 안보 정책이며, 미한 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대북 정보 유입이 미국과 한국이 공유하는 핵심 가치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정치적 혼란을 겪고 있는 한국에서 야당이 해외 분쟁지역 파병과, 대북 확성기 가동 등을 윤석열 정부의 외환 행위, 즉 외세를 이용한 국가 위협 행위라며, 관련 수사를 추가한 특검법안을 발의했습니다. 미국 내 전문가들은 대북 정책 추진 자체는 특검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면서 정치적 주장이라고 지적하고, 대북 정보 유입 등 미국 정부가 장려해온 활동들의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퇴임을 일주일 앞둔 조 바이든 대통령이 미한일 3자 협력 구축을 자신의 재임시절 주요 외교적 성과로 꼽았습니다. 또 무력을 과시하면서 러시아와 더욱 밀착하는 북한을 억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한일 3자 협력 구축을 지난 4년 간 주요 외교적 성과로 꼽았습니다. 무력을 과시하면서 러시아와 더욱 밀착하는 북한을 억제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2기 주요 지명자…다음주 인준청문회 / ‘북한 도발’ 위험…‘한국 정치 위기’ 틈타 감행할 수도 / 일본 외무성 ‘북한인 등 제재’ 단행…러시아에 ‘무기 지원’ / 라진항 ‘새해 첫 선박’ 입항…‘북러 무기 거래’ 의혹 지속 / 북한에 ‘무기 밀수출’ 혐의 ‘중국인’…한국어 사용
북한의 위협은 여전히 심각하며 도발을 감행할 위험도 있다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밝혔습니다. 한국의 정치 상황과 관련해선 혼란을 조기에 수습하는 것이 미국의 안보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본 외무성은 10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지원을 겨냥한 대러 제재의 일환으로 북한 관련 개인과 단체를 제재 대상으로 새롭게 지정했습니다.
카터 전 대통령 ‘영면’…‘전쟁 위기 방지·북핵 장기화’ / 5억 달러 규모 ‘추가 지원’…북한군 사상자 ‘4천 명’ / 덴마크·핀란드·필리핀 “북한 도발 중단·대화 촉구” / 브런슨 사령관 “역내 안정…‘미한일 안보협력’에 달려” / ‘주요 정보·데이터 보호’ 규정…‘북한 등 8개국’ 우려 국가
최근 라진항에 입항했던 대형 선박이 석탄을 가득 적재한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비어있던 석탄 부두에는 선박 출항 후 다시 대량의 석탄이 쌓이기 시작해 주목됩니다.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이 이어지는 가운데 덴마크와 핀란드, 필리핀도 북한의 도발을 강력하게 규탄했습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한반도를 넘어 세계 안보를 위협한다면서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강력 규탄…러시아 ‘북한 비호’ / 유엔 “북한 ‘안보리 결의’ 위반”…우크라 “북러 제재 필요” / 미국 국방부 “북한 ‘불법·불안정 행동’…중단 촉구” / 푸틴 ‘북한군 수입’…‘권위주의 축’ 정면 대응 / 북중러 ‘미사일 위협’…‘미국·동맹국 협력’ 압도적 우위
북한의 극초음속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이 이어지는 가운데 유엔과 우크라이나도 이를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유엔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고, 우크라이나는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을 막기 위한 공동의 노력과 엄중한 제재 이행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여권 영향력이 여전히 세계 최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비자 없이 여권으로만 입국 가능한 나라는 11개국에 불과했습니다.
유럽연합,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 국가들이 북한의 중거리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비판하면서 이번 발사가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역내 긴장을 고조시킨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은 한반도 상황을 우려한다며, 평화와 안정을 위한 모든 당사국의 노력을 촉구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