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5월 초 워싱턴을 방문해 바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박 대통령의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으로, 긴박하게 돌아가는 한반도 정세와 대북정책 조율이 주된 의제가 될 전망입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바락 오바마 대통령의 초청으로 오는 5월 상순 미국 방문을 계획하고 있다며, 미국 측과 협의를 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윤 대변인은 한국의 대통령 선거 직후인 지난 해 12월20일 두 나라 정상이 전화통화에서 조속한 시일 안에 정상회담을 열자는 데 공감했고, 이어 지난 2월 톰 도닐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취임식 경축 사절로 방한해 박 대통령에게 초청 의사를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박 대통령이 취임 뒤 첫 방문국으로 미국을 택한 것은 북한 문제와 같은 두 나라간 중대 현안들을 긴밀하고 신속하게 협의해야 할 필요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윤창중 대변인입니다.
[녹취: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 “이번 미국 방문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이후 첫 해외 방문이 될 것이며, 이는 최근 한반도 정세와 동맹 60주년을 맞는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감안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 미국 방문에서 두 나라 정상은 북한의 3차 핵실험과 이에 대한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 그리고 북한의 일방적인 정전협정 백지화 선언으로 촉발된 한반도 위기 상황을 점검하고 공동 대응책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박사입니다.
[녹취: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박사]“긴장이 고조된 한반도 정세 또는 보다 근본적으로 핵 문제를 포함한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간 정책 조율과 공조, 이런 것들이 매우 중요한 현안으로 논의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상황에 따라선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추진과 6자회담 대화 틀을 복원하는 방안이 깊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미-한 연합 독수리 연습이 4월 말에 끝나기 때문에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 때까지 북한이 추가 도발을 일으키지 않을 경우 대화 국면을 대비한 대북정책 조율 문제가 주된 현안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이와 함께 두 정상은 올해로 60주년을 맞는 두 나라 동맹의 발전 방안과 원자력 협정 개정 문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문제, 그리고 2015년 12월로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 이양 문제 등 양국의 현안들을 논의할 전망입니다.
미-한 정상회담을 앞두고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도 이르면 이달 말 첫 회담을 갖고 정상회담에서 다룰 구체적인 의제들을 조율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태영 한국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아직 구체적인 날짜가 정해지진 않았지만 두 나라 외교장관 회담 개최 문제도 협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바락 오바마 대통령의 초청으로 오는 5월 상순 미국 방문을 계획하고 있다며, 미국 측과 협의를 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윤 대변인은 한국의 대통령 선거 직후인 지난 해 12월20일 두 나라 정상이 전화통화에서 조속한 시일 안에 정상회담을 열자는 데 공감했고, 이어 지난 2월 톰 도닐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취임식 경축 사절로 방한해 박 대통령에게 초청 의사를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박 대통령이 취임 뒤 첫 방문국으로 미국을 택한 것은 북한 문제와 같은 두 나라간 중대 현안들을 긴밀하고 신속하게 협의해야 할 필요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윤창중 대변인입니다.
[녹취: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 “이번 미국 방문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이후 첫 해외 방문이 될 것이며, 이는 최근 한반도 정세와 동맹 60주년을 맞는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감안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 미국 방문에서 두 나라 정상은 북한의 3차 핵실험과 이에 대한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 그리고 북한의 일방적인 정전협정 백지화 선언으로 촉발된 한반도 위기 상황을 점검하고 공동 대응책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박사입니다.
[녹취: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박사]“긴장이 고조된 한반도 정세 또는 보다 근본적으로 핵 문제를 포함한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간 정책 조율과 공조, 이런 것들이 매우 중요한 현안으로 논의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상황에 따라선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추진과 6자회담 대화 틀을 복원하는 방안이 깊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미-한 연합 독수리 연습이 4월 말에 끝나기 때문에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 때까지 북한이 추가 도발을 일으키지 않을 경우 대화 국면을 대비한 대북정책 조율 문제가 주된 현안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이와 함께 두 정상은 올해로 60주년을 맞는 두 나라 동맹의 발전 방안과 원자력 협정 개정 문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문제, 그리고 2015년 12월로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 이양 문제 등 양국의 현안들을 논의할 전망입니다.
미-한 정상회담을 앞두고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도 이르면 이달 말 첫 회담을 갖고 정상회담에서 다룰 구체적인 의제들을 조율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태영 한국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아직 구체적인 날짜가 정해지진 않았지만 두 나라 외교장관 회담 개최 문제도 협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