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인권위원회 등 “미국의 유엔 인권이사회 탈퇴에 실망”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오른쪽)과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가 19일 국무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엔 인권이사회 탈퇴 결정을 발표했다.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오른쪽)과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가 19일 국무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엔 인권이사회 탈퇴 결정을 발표했다.

북한인권위원회 등 인권단체들은 미국 정부의 유엔 인권이사회 탈퇴 결정에 실망을 표출했습니다. 미국은 이사회에서 북한에 조치를 가하는 데 도움이 됐다며 탈퇴는 중국과 러시아 등 보편적 인권에 대한 가치를 공유하지 않는 국가들에 힘을 실어줄 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김영남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인권위원회 등 12 개 인권 단체들은 미국의 유엔 인권이사회 탈퇴 결정에 깊이 실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단체들은 19일 폼페오 장관에 서한을 보내 이번 결정은 미국의 국가 안보와 외교적 이해 관계에 비생산적이며 전세계의 인권 문제를 개선하는 것을 어렵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미국이 이사회에 참여한 것이 북한과 이란, 미얀마, 시리아 등 중대한 인권 유린 국가들에 조치를 가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보편적 인권에 대한 미국의 가치를 공유하지 않는 이사회의 다른 국가들인 러시아와 중국 등에 힘을 실어줄 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과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19일 국무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권이사회의 부조리와 이스라엘에 대한 편견 등을 지적하며 탈퇴 의사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헤일리 대사는 이날 러시아와 중국, 쿠바, 그리고 이집트 등을 미국의 인권이사회 개혁 노력을 반대해온 국가로 지목했습니다.

그러면서 베네수엘라와 중국, 쿠바, 콩고민주공화국 등이 이사회 회원이라며 이들이 기본적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헤일리 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과거와 같이 올해에도 유엔 인권이사회는 이스라엘에 대한 결의안 5개를 채택했다며 이는 북한과 이란, 그리고 시리아에 대한 결의안을 합친 것보다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헤일리 대사] “Earlier this year, as it has in previous years, Human Rights Council passed five resolutions against Israel, more than the number the number passed against North Korea, Iran and Syria combined.”

이스라엘에 대한 불균형적인 집중과 끝없는 적대감은 인권이사회가 인권이 아닌 정치적인 동기로 움직이는 것을 보여준다는 겁니다.

폼페오 국무장관도 이날 탈퇴 계획을 밝히며 헤일리 대사가 지난 1년간 인권이사회 개혁을 위해 노력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폼페오 장관] “Ambassador Haley has spent more than a year trying to reform the Human Rights Council. She was the right leader to thrive our efforts in this regards at the United Nations. Her effort in this regards have been tireless. She has asserted American leadership on everything from Assad regime’s chemical weapons use to the pressure campaign against North Korea.”

시리아 아사드 정권의 화학무기 사용부터 북한에 대한 압박 캠페인까지 많은 문제를 제기했었다는 겁니다.

실제로 헤일리 대사 재임 당시인 4월 유엔 미국대표부는 북한 관련 선박회사와 선박 등 49곳을 제재 명단에 추가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제재안을 제출해 통과시킨 바 있습니다.

앞서 유엔 인권이사회는 지난 3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37차 총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규탄하는 북한 인권 결의안을 표결 없는 동의(컨센서스) 형식으로 채택했습니다.

해당 결의안은 북한에서 자행되는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인권 유린을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전신인 유엔 인권위원회가 지난 2003년에 처음 북한 인권 결의안을 채택한 뒤 매년 결의안을 채택해왔습니다.

VOA 뉴스 김영남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