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지난달 안보리 ‘북한 ICBM’ 긴급회의, 한국이 소집 요청…유엔 문건 통해 뒤늦게 확인


황준국 유엔 주재 한국 대사가 지난해 10월 안보리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황준국 유엔 주재 한국 대사가 지난해 10월 안보리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지난달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대응한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을 요청한 나라가 한국이었다는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안보리 이사국이 아니면서 이런 요청을 한 건 이례적인데, 최근 유엔 무대에서 북한과 날 선 공방을 벌이는 한국의 달라진 모습과 맞물려 주목됩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ICBM을 발사된 지난달 18일 한국 정부가 안보리에 긴급 서한을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VOA가 유엔 안보리에 지난달 접수된 문건을 확인한 결과 황준국 유엔주재 한국대사 명의로 된 서한에는 “2023년 2월 18일 북한의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안보리가 주의를 기울이기를 바란다”는 당부가 담겼습니다.

더 나아가 “안보리가 신속히 회의를 열어 안보리 (대북) 결의에 대한 심각한 위반을 논의하고 대응할 것을 요청한다”는 한국 정부의 요구가 명시됐습니다.

이 서한은 발사 당일인 지난달 18일 작성돼 이틀 뒤인 20일 유엔 안보리 공식 문서로 접수됐습니다.

안보리는 실제로 20일 오후 3시 북한의 ICBM 발사 문제 논의를 위한 공개회의를 개최해 안보리의 대응책 등을 논의했습니다.

VOA는 회의 하루 전날인 19일 유엔 소식통을 인용해 안보리 회의 소집을 예고한 바 있습니다.

당시엔 회의 소집을 요구한 국가가 알려지지 않았었는데 이번 서한을 통해 한국이 안보리 이사국들을 한자리에 모은 사실이 확인된 것입니다.

앞서 일부 언론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발언을 토대로 일본 정부가 회의 소집을 요청했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과 별도로 한국도 안보리 회의 소집에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북한의 핵실험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문제를 논의하는 안보리 회의는 대부분 미국 등 이사국의 요청에 따라 개최돼 왔으며, 이번처럼 안보리 이사국이 아닌 한국이 회의 소집을 요구한 건 이례적입니다.

특히 작년 초까지만 해도 안보리 이사국의 북한 관련 조치에 한국이 소극적 태도를 보였던 것을 고려할 때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한 국제적 대응을 한국이 주도한 것은 큰 변화로 받아들여집니다.

앞서 한국은 작년 1월 20일과 2월 4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하는 회의가 끝난 뒤 미국이 대표로 낭독한 장외 공동성명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습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안보리 이사국이 아니었던 일본의 꾸준한 참여와 대조적이었습니다.

이후 한국은 언론 등을 통해 비난 여론이 확산하자 지난해 2월 28일 발표된 공동성명부터 동참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의 달라진 모습은 작년 9월부터 시작된 제77차 유엔총회 회의장에서도 두드러집니다.

앞서 VOA는 한국이 유엔총회 공식 회의장과 군축 문제를 다루는 제1위원회, 특별정치와 탈식민을 주제로 한 제4위원회 등에서 북한의 주장에 ‘반박권’을 사용해 대응한 사례가 최소 7차례에 달한다고 보도했습니다.

한국은 2021년까지만 해도 북한의 일방적인 주장에 침묵하며 대응을 자제했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