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유엔 안보리, 12일 ‘북한 인권’ 공개 회의 개최… 2년 연속


지난 3월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가 열리고 있다. (자료사진)
지난 3월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가 열리고 있다. (자료사진)

유엔 안보리가 오는 12일 북한 인권을 주제로 공개 회의를 개최합니다. 우크라이나 관련 안보리 회의에선 북한의 대러 무기 지원을 규탄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안보리, 12일 ‘북한 인권’ 공개 회의 개최… 2년 연속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16 0:00

유엔 안보리가 2년 연속 공개회의를 열고 북한 인권 문제를 논의합니다.

안보리는 7일 홈페이지 의사일정을 통해 오는 12일 북한 문제로 공개 브리핑을 연다고 밝혔습니다.

안보리 관계자는 7일 VOA에 이 ‘북한 브리핑’이 인권에 대한 것이라고 확인했습니다.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이 공개적으로 논의되는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약 10개월 만입니다.

앞서 안보리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 발표 이후 2014년부터 4년간 북한 인권회의를 공개적으로 개최했지만 2017년 12월을 마지막으로 중단된 바 있습니다.

지난해 8월17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북한 인권 관련 안보리 공개회의에서 폴커 투르크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화상으로 모두발언을 했다. (자료사진)
지난해 8월17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북한 인권 관련 안보리 공개회의에서 폴커 투르크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화상으로 모두발언을 했다. (자료사진)

그러다가 지난해 8월 6년 만에 북한 인권 상황을 다룬 공개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지난해 안보리 회의는 미국과 일본, 알바니아 등의 요청으로 소집됐습니다.

안보리 공개 회의 개최를 위해선 이사국 15개국 가운데 적어도 9개국의 지지가 필요합니다.

그동안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 인권 문제는 안보가 아닌 인도주의적 문제라며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의제화하는 데 반대해 왔습니다.

앞서 한국 외교부는 이번 달 안보리 의장국을 수임을 계기로 북한 인권 브리핑 공개 회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한국의 황준국 주유엔 대사가 지난 3일 뉴욕 유엔 본부에서 안보리 6월 의장 자격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계획을 밝혔다.
한국의 황준국 주유엔 대사가 지난 3일 뉴욕 유엔 본부에서 안보리 6월 의장 자격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계획을 밝혔다.

이어 황준국 주유엔 한국 대사는 지난 3일 안보리 의장 자격으로 회의를 열고 “6월 중순 북한 인권 관련 회의를 열 계획”이라고 예고한 바 있습니다.

[녹취: 황 대사] “We plan to have a meeting in mid-June. The advancement of the DPRK's WMD program is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dire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situation in the country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황 대사는 “북한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의 진전은 북한의 심각한 인권 및 인도주의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며 “이는 마치 동전의 양면과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북한의 조직적인 인권 침해가 국제 평화와 안보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을 무시해선 안 된다”며 의장국 수임 기간 인권 문제를 중시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었습니다.

일본대표부의 시노 미츠코 차석대사(자료사진)
일본대표부의 시노 미츠코 차석대사(자료사진)

한편 7일 유엔 안보리에서 ‘우크라이나의 평화와 안보 유지’를 주제로 열린 회의에서 주유엔 일본 대표부의 시노 미츠코 차석대사가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를 비판했습니다.

[녹취: 시노 차석대사] “Japan condemns in the strongest possible terms North Korea’s export and Russia’s procurement of ballistic missiles, as well as Russia’s use of these missiles against Ukraine. The transfer of these weapons, a clear violation of relevant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supports Russia’s war of aggression and increases the suffering of the Ukrainian people. We continue to closely monitor what North Korea gains in return.”

시노 차석대사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수출과 러시아의 북한 탄도미사일 조달,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북한 탄도미사일 사용을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같은 (북러 간) 무기 이전은 관련 안보리 결의에 명백히 위배되며 러시아의 침략 전쟁을 지원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가중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시노 차석대사는 이어 “우리는 북한이 그 대가로 무엇을 얻는지에 대해서도 계속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지난 1일에도 일본은 미국, 한국 등 10개국 외교장관과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 대표와 함께 북한의 대러 무기 이전을 반대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들은 공동성명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핵심 시설을 타격하는데 북한 무기를 사용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장기화했다”며 불법적인 무기 이전을 중단하라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

Forum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