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러 밀착 강화, 한러 관계 영향 줄 수 있어 …첨단기술 이전 여부 주목”


러시아 관영 스푸트니크 통신이 배포한 이 사진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이 19일 평양에 도착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환영하고 있다.
러시아 관영 스푸트니크 통신이 배포한 이 사진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이 19일 평양에 도착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환영하고 있다.

24년 만에 이뤄진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으로 강화된 북러 밀착이 한러 관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미국 전문가들이 전망했습니다. 특히 러시아의 대북 첨단 군사 기술 이전 여부에 주목한 가운데 러시아가 한국과의 관계를 관리하는데도 신경을 쓸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러 밀착 강화, 한러 관계 영향 줄 수 있어 …첨단기술 이전 여부 주목”.wav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4:59 0:00
에반스 리비어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수석부차관보.
에반스 리비어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수석부차관보.

에반스 리비어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수석 부차관보는 18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해 한국이 러시아와의 관계를 재설정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리비어 전 수석 부차관보는 이날 VOA와의 통화에서 “최근 여러 정황을 보면 러시아와 중국이 북한 문제 해결을 도울 준비가 돼 있던 시대는 끝났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리비어 전 수석 부차관보] “South Korea has traditionally sought to maintain proper and stable and predictable ties with both Moscow and Beijing, in large part because of the expected that Russia and China would be helpful in dealing with North Korea. But looking at the preponderance of evidence, these days, it suggests pretty clearly that the days when the Russians and Chinese were prepared to help on North Korea, those days are over. And so now there is the possibility, maybe even a strong possibility, that Russia may soon be providing North Korea with weapons related, military related technology and support that would pose a direct threat to the Republic of Korea. And if that happens, then South Korea needs to think very clearly, very strategically and very urgently about how to respond to this new threat that has been aided and abetted directly by by Moscow.”

리비어 전 수석부차관보는 “전통적으로 한국은 러시아와 중국 모두와 안정적이며 예측 가능한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해 왔다”며 “그 이유는 두 나라가 북한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러시아가 조만간 한국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는 무기 및 군사 관련 기술을 북한에 제공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한국은 이 같은 새로운 위협에 어떻게 대응할 것이지 상당히 명확하고 전략적이며 긴급하게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한국 입장에서 가장 위험한 상황은 러시아가 전투기 관련 기술이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기술, 유도 엔진 관련 기술 등 첨단 군사 기술을 북한에 제공하기로 합의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한국에 대한 북한의 위협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한국이 이에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장호진 한국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장호진 한국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앞서 장호진 한국 국가안보실장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이 임박하던 지난 16일 한국의 ‘연합뉴스TV’에 출연해 북러 간 과도한 밀착을 경계하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장 실장은 “러시아 측에 일정한 선을 넘지 말라는 경고성 소통도 한 바 있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면 과연 남과 북 중에 어느 쪽이 더 중요하고 필요한지 잘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빅터 차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
빅터 차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

빅터 차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도 18일 북한의 대러 무기 지원에 대한 반대급부로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 군사 기술을 이전할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북한과의 군사협력을 한층 강화한다면 한국과 관계 개선 의지를 나타낸 푸틴 대통령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지난 5일 세계 주요 뉴스통신사 대표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러 관계 관리 방안’과 관련해 우선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직접 공급하지 않아 대단히 감사하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한러 관계가 악화하지 않기를 희망한다”며 “한반도 전체와 관련해 양국 관계 발전에 관심이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차 석좌는 북러 군사협력이 더욱 강화되면 한국은 미국, 일본과 더욱 밀접하게 공조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차 석좌] “If anything, what we'll see is a tightening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and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 Japan and Korea. The NATO summit is in Washington next month and that'll be an opportunity for the three allies to tighten their relationship even more.”

차 석좌는 “다음 날 워싱턴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는 미한일 3국 간 동맹 관계를 더욱 긴밀히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조셉 디트라니 전 미국 6자회담 차석대표.
조셉 디트라니 전 미국 6자회담 차석대표.

조셉 디트라니 전 6자회담 미국 측 차석대표는 북러 간 밀착은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에 분명한 영향을 준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디트라니 전 차석대표]”Obviously it does because this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 and Russia, the alliance between the two will further emboldened Kim Jong Un and make him that much more provocative. It contributes to see ad building of embodiment of Kim Jong Un and the possibility of a provo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at could lend itself to instability and in the region.”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 강화가 북한 김정은을 더욱 대담하게 만들고 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높일 뿐 아니라 역내 불안정성을 가중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디트라니 전 차석대사는 러시아가 한국을 지나치게 자극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러시아가 전 세계 10대 경제국이자 국제 주요 플레이어인 한국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한러 관계를 관리하며 유지하려 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로버트 랩슨 전 주한미국 대사대리
로버트 랩슨 전 주한미국 대사대리

로버트 랩슨 전 주한미국대사대리는 푸틴의 전략적 이유와 이해관계 등으로 북러 정상회담 이후 양국이 구체적으로 어떤 군사 협력을 끌어낼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는 서울과의 관계를 관리하거나 적어도 더는 악화하는 것을 막는 데 계속 관심을 표명해 왔다”는 점을 상기했습니다.

[랩슨 대사대리] "In the meantime, Moscow has continued to signal interest in managing relations with Seoul, or at least preventing them from deteriorating further. Seoul has shown some interest as well, will undoubtedly hold to its current course and maintain alignment with the US and other like-mindeds pending outcomes of this week’s summit. Seoul is also trying to wave a “China card” at both Pyongyang and Moscow with the visit to Seoul this week by senior Chinese officials.”

랩슨 대사대리는 이어 한국도 러시아와 관계 관리에 어느 정도 관심을 보였고 현재 방침을 이어가며 구체적인 정상회담 결과가 나올 때까지 미국 등 기타 같은 생각을 가진 국가들과의 공조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

Forum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