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캐나다, 북한의 수해 지원 거부에 “인도적 상황 지속적으로 우려”


지난 8, 9일 이틀 간 평안북도 의주군 수해 현장을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피난민 텐트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출처: 조선중앙통신)
지난 8, 9일 이틀 간 평안북도 의주군 수해 현장을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피난민 텐트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출처: 조선중앙통신)

북한이 수해를 입고도 외부 지원을 받지 않는 데 대해 캐나다는 주민들의 인도주의 상황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스웨덴은 북한의 홍수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캐나다, 북한의 수해 지원 거부에 “인도적 상황 지속적으로 우려”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10 0:00

캐나다가 23일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 외무부 대변인] “Canada continues to be concerned about the humanitarian situation in North Korea including the current needs in food security, nutrition, health, and water and sanitation.”

캐나다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북한이 국제사회의 수해 지원을 거부하고 있는 데 대한 VOA의 논평 요청에 이같이 밝히고 “여기에는 현재의 식량 안보와 영양, 보건, 식수 및 위생에 분야의 필요를 포함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캐나다 외무부 대변인] “Canada provides humanitarian assistance in a needs-based and equitable manner, in line with the humanitarian principles of humanity, neutrality, impartiality, and independence.”

그러면서 “캐나다는 인도주의 원칙인 인도주의와 중립성, 공정성, 독립성에 따라 필요에 기반한 공평한 방식으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한다”고 덧붙였습니다.

2001년 북한과 수교한 캐나다는 대북 인도적 지원 및 민간 교류를 이어가는 한편 북한의 핵과 인권 문제는 비판하는 ‘제한적 관여 정책’(Controlled Engagement Policy)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캐나다의 대북 인도적 지원은 지난 2005년 유엔을 통해 시작됐습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자금 추적서비스(FTS)에 따르면 북한이 신종 코로나 방역을 이유로 국경을 봉쇄하기 직전인 2019년, 캐나다는 150여 만 달러를 지원하며 5번째로 큰 대북 인도주의 기부국이었습니다.

지난 1975년 서방 국가로는 처음으로 북한에 대사관을 열고 미국과 캐나다, 호주의 영사 업무를 대행해 온 스웨덴은 “유엔 및 다른 (인도주의) 행위자들과 함께 북한의 홍수 (피해 상황)에 대해 면밀히 주시해 왔다”고 짧게 답했습니다.

[스웨덴 외무부 대변인] “Sweden has been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floods in the DPRK together with UN and other actors. For many years, Sweden has been a major donor to international humanitarian organizations in the DPRK, including UN entities,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이어 “수년 동안 스웨덴은 유엔 기구와 국제 적십자사 및 적신월사 등 북한 내 국제 인도주의 단체의 주요 기부국”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스웨덴은 지난 1995년 발생한 북한의 대홍수를 계기로 지금까지 대북 지원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23일 현재 OCHA의 자금 추적 서비스를 보면 북한의 국경 봉쇄로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 모금이 거의 끊긴 상황에도 스웨덴은 올해 98만 달러를 기부했습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27일 폭우로 압록강 하류에 있는 평안북도 신의주시와 의주군에서 주택 4천100여 세대와 농경지 3천 정보를 비롯해 공공건물과 도로, 철길 등이 침수됐다고 31일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국제사회의 수해 복구 지원 제의에 일절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반도안보전략연구원의 정성학 영상분석센터장은 앞서 VOA에 제대로 복구 되지 않는 상황에서 북한의 수해가 되풀이 되는 점을 지적하고 북한 정권은 국제사회의 지원을 정치적인 문제로 보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정 센터장] ”지도자의 체면 문제가 아니라 주민들의 먹고 사는 문제,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에 당연히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고 주민들의 굶주림 또 이런 어려움에서 구제해 주는 것이 지도자의 책무이죠.”

앞서 국무부는 지난 2일 VOA에 북한의 수해 복구 지원 여부와 관련해 “미국은 인도적 지원과 비핵화 사안을 별개로 보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혀왔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 “We have made clear the United States views humanitarian assistance separately from denuclearization. The U.S. government helps facilitate the provision of humanitarian aid to the neediest North Koreans.”

그러면서 “미국 정부는 가장 도움이 필요한 북한 주민들에게 인도적 지원이 원활히 제공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

Forum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