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정보 투명하게 공개해야”


6일 한국 서울의 한 지하철역에 영어와 중국어로 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안내문이 붙어있다.
6일 한국 서울의 한 지하철역에 영어와 중국어로 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안내문이 붙어있다.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해, 자국 내 감염자가 없다고 주장할 뿐 의심 환자나 격리자 등에 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않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런 방식으로는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것이라며, 국제사회와 주민들과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지다겸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는 매일 약 한 시간 정도의 브리핑을 통해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입니다.

[녹취: 정은경 본부장 (6일 브리핑)] “현재까지 총 23명이 확진되었으며, 693명이 검사 음성으로 격리 해제되고, 169명은 검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정 본부장은 현재까지 진행된 사례에 대한 역학조사 경과와 새로운 확진자들에 대한 정보, 접촉자에 대한 자가 격리 조치 등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한국 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매일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정보를 자세히 공개하고 세계보건기구(WHO)와도 공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 관영 매체들은 국내에 확진자가 없다고 거듭 보도할 뿐, 의심 환자나 격리자 수 등 국내 상황에 관한 정보는 전혀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노동신문은 5일 “비상방역지휘부에서는 격리자들을 대상하는 성원들을 고정시키고 보호복과 마스크를 비롯한 의료품 등을 원만히 보장해주기 위한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보도하며 격리자가 있음을 시사했지만, 이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북한은 과거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스)나 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메르스)가 발생했을 때도 발병자가 없다고 주장했을 뿐, 국내 발병 상황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2017년 12월에 발생한 A형(H1N1) 신종독감에 관해서는 세계보건기구(WHO) 평양사무소에 사망자와 감염자수를 보고한 바 있습니다.

로베르타 코헨 전 미국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는 6일 VOA에, 그동안 북한 정부가 국제 기구들에게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코헨 전 부차관보] “They provide information in a very limited way to the humanitarian groups only that connects just narrowly to their particular project in the country… So there's a kind of a history of they're not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to organizations that are also focused on the public health and development in the country.”

북한 정부가 인도주의 단체들에게 특정한 프로젝트에 관해서만 협소하고 제한적으로 정보를 제공했다는 겁니다.

특히 북한이 ‘공중 보건과 개발’를 돕는 국제 기구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역사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제롬 소바쥬 전 유엔개발계획(UNDP) 평양사무소장도 이에 동의하면서, 국제 기구들이 북한 정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기 어려웠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북한에 예방 접종과 모자∙소아 보건 등 의료 관련 자료와 수치가 없었다고 지적하면서, 이것이 북한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관련 수치를 공유하지 못하는 배경 중 하나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소바쥬 전 소장] “… Absolute lack of data in North Korea and I would add more than that. There's no culture of data, there's no culture of information in the country… It is probably the country in the world with the least available data.”

북한에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는 문화가 없을 뿐 아니라, 북한은 세계에서 자료가 가장 적은 나라일 것이라는 겁니다.

또한 북한과 같은 ‘전체주의 정권’에서는 개인이 ‘나쁜 소식’을 전달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 분위기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 ‘인도주의 보건센터’ 의 코틀랜드 로빈슨 교수는 북한이 국제보건기구와 보건 전문가들뿐 아니라 북한 주민들과도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북한이 새롭게 등장한 질병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지 않음으로써 바이러스 전파 기간을 늘리고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게 하는 위험성을 안게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로빈슨 교수] “I would just say I think the risk of them somehow perpetuating transmission and not responding effectively.”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치료법이 없을 뿐 아니라, 감염∙전파 경로도 불분명하고 감염시 위험 정도도 불분명한 질병이라는 겁니다.

따라서 바이러스 현황 정보를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 기구와 더 많이 공유할수록, 그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바이러스 전파 위험을 줄이고 감염을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고 덧붙였습니다.

로빈슨 교수는 또 북한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투명하게’ 대응하지 않을 경우, 북한 주민들이 정부와 의료 체계를 믿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로빈슨 교수] “I think the risk of them not being transparent is quite high. … One is that the disease transmits in ways that are really quite threatening to the health of the North Korean population. And that could certainly have impact in terms of how much people trust them and how much people are prepared to put their treatment into the hands of the government…”

재미한인의사협회(KAMA) 박기범 북한담당 국장은 모든 국가들은 국제 기구에 확진∙의심환자를 보고해야 할 의무가 있다면서, 국제적 차원에서 전염병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국제기구가 각 국의 보고를 기반으로 전염병이 얼마나 심각하게 확산되었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대응책과 ‘적절한 권고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녹취: 박 국장] “If you have one country doesn't do its part, that could create delays in containment. Having said that, that goes both way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eds to help every country, not some of the countries, including countries like North Korea, in preparing for an epidemic or an outbreak, or worst-case scenario …”

만약 한 국가가 보고의 의무를 다하지 않는다면, 그것이 국제적 차원의 대응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박 국장은 또 북한에 보고 의무가 있는 것처럼, 국제사회도 북한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전염병 혹은 최악의 경우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VOA뉴스 지다겸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