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현재까지 국제사회가 1천480만 달러의 대북 인도적 지원을 약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은 신종 코로나 유입을 막기 위한 국경 봉쇄를 1년 반 넘게 이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10일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홈페이지의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금 현황표에 따르면, 올해 들어 현재까지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 규모는 1천 480만 달러입니다.
북한에 대한 지원을 약정한 국가는 독일과 스위스, 핀란드, 노르웨이, 캐나다, 스웨덴 등 6개 나라입니다.
이 가운데 스위스가 182만 달러($1,821,434)로 가장 많았고, 캐나다가 117만 달러($1,170,960) 스웨덴이 59만 달러($597,443) 순이며, 핀란드 58만 달러($586, 166 ) 노르웨이, 독일이 각각 23만 달러($233,563)와 1만 5천
달러($15,715)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스위스는 외교부 산하 스위스개발협력청(SDC)을 통해 수해를 입은 황해남북도 지역 지원을 약속했고, 독일은 구호단체인 세계기아원조를 통해 평안남북도 내 취약 계층에 대한 식량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스웨덴은 북한 내 식량 안보와 관련한 지원을 하기로 했으며, 핀란드는 자국 내 비영리단체 ‘ACT 얼라이언스 처치 에이드’를 통해 북한을 돕기로 했습니다.
앞서 북한은 유엔 OCHA가 전 세계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나라와 지원 규모를 책정해 발표하는 ‘2021년 인도적 지원 개요’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인도적 지원 예산 배정’에서 모두 제외됐습니다.
유엔은 그 배경에 대해 북한 당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조치로 현지 상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밝히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 지침에 따라 북한 지원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북한 당국은 신종 코로나 유입을 막겠다며 1년 반 넘게 국경을 봉쇄하고 있고, 지난 해 여름에는 외부 지원 거부를 선언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인도주의 단체들의 대북 활동도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세계식량계획(WFP)는 지난 6월 신종 코로나 국경봉쇄로 인해 북한에 대한 임시 국가전략 계획을 올해 12월에서 내년 12월로 연장했습니다.
WFP는 관련 보고서에서 국경 봉쇄와 내부 이동 제한이 풀리면 바로 북한 임산부와 수유모, 보육원 어린이 등에 대한 지원을 재개할 계획이라면서 내년 12월 31일까지 1억 8천만 달러 예산으로 북한 주민 362만 명을 돕겠다고 밝혔습니다.
유엔인구기금(UNFPA)은 9일 공개한 ‘인도주의테마기금’ 연례보고서에서 지난 2020년 북한에 33만 달러($329, 804)를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예년과 달리 북한 내 구체적인 산모, 영유아 지원 사업 내역은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지난 6월 아일랜드에 본부를 둔 비정부 기구 ‘컨선 월드와이드’는 지난해 대북 지원에 147만 8천 200달러를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
유럽연합 프로그램인 개발협력기금을 통해 북한 주민의 영양 상태 개선에 쓰였는데, ‘컨선 월드와이드’는 올해 3월까지 북한에 직원이 상주한 몇 안되는 국제 단체가운데 하나였습니다.
한편 코로나 사태로 대북 지원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눈에 띄는 현상 가운데 하나는 대북 제재 면제 기한 연장 승인입니다.
올 3월 유엔아동기금(UNICEF, 유니세프)가 신종 코로나로 인해 물품 전달에 지장이 있다며 제재 면제 기한 연장을 요청해 내년 3월까지로 1년 연장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어 유엔인구기금(UNFAP)도 지난 4월, 코로나에 따른 지원 물품 운송 지연을 이유로 제재 면제 1년을 연장 받았습니다.
가장 최근인 지난달에는 WFP가 국경 봉쇄로 대북 식량지원 계획을 실행하지 못했다며 제재 면제 기간을 1년 더 연장 받았습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