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 이번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살펴보면 직계가족의 만남은 줄고 형제나 자매, 사촌 간의 만남은 늘었습니다. 이산가족 가족들의 고령화 때문인데요.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남북 당국회담 성사 여부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한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번 이산가족 상봉에서 가족을 만난 남북한 180 가족 가운데 부모와 자식 등 직계가족을 만난 가족은 18 가족 뿐입니다.
이들을 제외한 대부분은 형제나 자매, 사촌, 조카 등을 만났습니다.
이산가족들이 고령화 되면서 부모와 자식 간의 만남이 크게 줄어든 겁니다.
상봉 참가자들 가운데 80세 이상 노인이 90%에 이를 정도로 고령자가 많다 보니 건강상의 이유로 상봉을 포기하기도 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지난 9월 현재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90세 이상 이산가족은 약 7천800 명, 또 80세 이상 고령자는 전체의 절반을 넘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한국 통일부 관계자] “90세 이상이 정확히 7천781 명이라 11.7% 되고요. 80~89세가 가장 많이 차지하는데 그분들이 벌써 2만 8천여 명이 돼서 42%, 80대 이상이 그래서 50% 된다고 말씀을 드리는 거거든요.”
이에 따라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산가족들의 고령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이대로 가다간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필요성이 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 김수암 박사는 고령화된 이산가족들에게 필요한 것은 서신 왕래와 상시 상봉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김수암 박사/ 한국 통일연구원] “지속적인 생사 확인이나 소식을 알 수 있을 정도는 최소한의 요건은 돼야 되겠죠. 그게 결국 고령화의 가장 큰 문제점은 매번 만나러 갈 수는 없잖아요. 일시적 상봉의 가장 큰 문제점은 만난 뒤 더 큰 상처를 남길 수 있다는 거죠. 한 번 만나고 나서는 또 살았는지 죽었는지 모르고 살아야 되는... 가혹한 거죠. 상시상봉 아니면 최소한 생사를 알 수 있는 매커니즘의 구축, 서신 왕래 이런 것들은 고령화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이겠죠.”
북측 이산가족 상봉단장인 이춘복 북한 적십자중앙위원회 위원장은 24일 이번 상봉 행사가 끝나면 상시 접촉과 편지 교환 등 이산가족 관련 문제를 한국 측과 협의할 생각이라고 밝혀 주목을 끌었습니다.
하지만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 해결 등 복잡한 현안을 풀기 위해서는 당국회담 개최가 필수적이라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남북한은 지난 8월 25일 고위 당국자 접촉에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당국회담을 서울 또는 평양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했지만 아직까지 회담 시기와 장소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관진 한국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23일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조만간 남북 당국회담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녹취: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당국 간 회담이 이루어지고 적십자 본회담 등도 앞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이산가족 문제를 보다 더 정례화 시키고 생존자 확인을 하고 이런 과업이 진행될 것이고 남북한 합의되면 진전이 가능하다 생각하고 있습니다.”
당국회담에서 논의될 남북 현안으로는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 방안과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 북한의 천안함 피격 사건 유감 표명, 5.24 대북 제재 조치 해제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한상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