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의 배경과 관련 용어를 설명해 드리는 ‘뉴스 따라잡기’ 시간입니다. 지난 3월 8일은 세계 여성의 날이었습니다. 북한에서도 ‘국제부녀절’로 크게 기념하고 있는 날이죠. 뉴스 따라잡기 이 시간에는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그 유래를 살펴보고, 오늘날 전 세계를 움직이는 여성 지도자는 누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세계 여성의 날 유래”
세계 여성의 날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있었던 일련의 여성 권익 운동에 그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처음 기록은 1857년 3월 8일, 미국 뉴욕의 섬유 공장에서 일하던 여성 노동자들의 시위였습니다.
이들은 비인도적인 작업 환경 개선과 노동 시간 단축,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는데요. 경찰은 이 시위를 강경 진압했습니다.
그리고 약 50년이 지난 1908년 3월 8일, 미국 뉴욕에서 섬유 공장 여성 노동자들의 시위가 또 발생했습니다.
당시 섬유 공장에서 일하던 여성 노동자 1만5천 명이 뉴욕 시내 한복판에서 여성 노동자들의 권리를 주창하며 시위를 벌였는데요. 1만 명 이상의 집회는 지금도 작다고 할 수 없지만, 지금부터 115년전, 1만5천 명의 여성들이 운집한 것은 대단한 사회적 사건이었습니다.
이들은 50년 전에도 요구했지만 여전히 열악하기 짝이 없는 근로 조건 개선을 촉구했고요. 여기에 미성년자 노동 금지, 여성 참정권 등의 요구도 더해졌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 2년 뒤인 1910년 8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여성노동자회의에서 독일 사민당 소속 여성 정치인 클라라 제트킨 등이 앞장서 세계 여성의 날 제정을 발의했고요.
이듬해 3월, 오스트리아, 덴마크, 독일, 스위스 등 유럽 등지에서 처음으로 여성의 날 행사가 개최됐습니다.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여성 운동의 물결은 더디지만, 끊임 없이 이어졌는데요. 세계 여성의 날이 국제적으로 공인받은 건 1970년대 들어와서입니다.
1975년 국제연합(UN)은 이 해를 세계 여성의 해로 지정하고 기념 행사를 가졌고요. 2년 후인 1977년 12월 유엔 총회는 각 회원국의 역사와 전통에 따라 어느 하루를 정해 그 날을 여성의 권리와 세계 평화를 위한 유엔의 날로 선포하는 결의안을 채택합니다. 유엔은 1975년부터 매년 3월 8일을 세계 여성의 날로 기념해 오고 있습니다.
“빵과 장미”
세계 여성의 날을 이야기할 때면 늘 함께 떠오르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Bread and Roses’, 즉 빵과 장미꽃입니다.
한국의 밥과 같은 빵은 살아가는 연명 수단, 장미꽃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품위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죠. 또 빵은 당시 여성 근로자들이 요구했던 임금 인상으로, 장미는 여성들의 참정권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어쨌든 이 빵과 장미는 20세기 미국 여성 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구호였습니다.
당시 여성 근로자들은 시위 때 “우리는 빵과 장미를 원한다”고 외쳤는데요. 여기서 영감을 받아 제임스 오펜하임이라는 미국의 시인은 ‘빵과 장미’라는 시를 썼고요. 시에 가락을 붙인 노래도 만들어졌습니다.
지금도 전 세계적으로 3월8일 세계 여성의 날 행사장에서는 빵과 장미꽃을 나눠주는 관례가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이날이 되면 보라색 옷을 입은 사람들이나 보라색 장식이 유난히 눈에 띄는데요. 보라색은 초록색, 흰색과 함께 세계 여성의 날을 상징하는 세 가지 색깔의 하나입니다.
세계 여성의 날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보라색은 정의와 존엄을, 녹색은 희망을, 흰색은 순수를 상징합니다.
“세계 여성 지도자들”
유엔 193개 회원국 가운데 현재 여성이 이끄는 나라는 30개국 정도입니다. 최근 몇 년간 일부 여성 지도자는 국제 무대를 떠났지만, 또 반면 새로운 얼굴도 여럿 등장했습니다.
물러난 세계 여성 지도자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인물 가운데 한 명은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전 총리입니다. 독일 총리로 16년간 재임하며 독일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 메르켈 전 총리는 지난 2021년 퇴임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지난해 9월 취임한 후 두 달도 안 돼 물러나면서 영국 역사상 최단명 총리라는 오명을 안게 된 리즈 트러스 전 총리도 있습니다.
또 우크라이나 전쟁 후 나토 가입을 추진하면서 전 세계 이목이 집중됐던 스웨덴의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전 총리도 지난해 총선 패배 후 퇴진했고요.
올해는 뉴질랜드 역사상 최연소 총리였던 저신다 아던 전 총리가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겠다며 퇴진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아직까지는 비율적으로 유럽에서 여성 지도자가 더 많이 배출되는 편인데요. 가장 최근 언론의 조명을 받은 인물은 지난 3월 5일 총선에서 여당의 압승으로 재집권이 유력한 에스토니아의 카야 칼라스 총리입니다. 올해 45세인 칼라스 총리는 친서방, 친우크라이나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또 스웨덴과 함께 나토 가입을 추진하고 있는 핀란드의 산나 마린 총리도 언론의 조명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2019년 34세로 당시 세계 최연소 총리로 등극한 마린 총리는 종종 술자리 관련 구설에 오르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이런 구설은 여성 지도자에 대한 편향된 시각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유럽 아닌 나라에도 현역 여성 지도자가 여럿 있습니다. 네팔은 비디아 데비 반다리 대통령이 2015년부터 재임하고 있고요. 심각한 정정 불안을 겪고 있는 페루의 디나 볼루아르테 대통령도 있습니다. 또 아프리카 탄자니아, 토고, 방글라데시 등도 현재 여성 지도자가 이끌고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한국도 현역 지도자는 아니지만 여성 대통령을 배출했는데요. 바로 지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재임한 박근혜 전 대통령이 있습니다.
“2023 세계여성의 날”
올해 세계 여성의 날 글로벌 캠페인 주제는 ‘공평함을 포용하자(Embrace Equity)’입니다.
이 캠페인의 목적은 공평에 대한 논의를 장려하면서, 모든 성별 고정관념과 차별에 도전하고 편견을 물리치며 포용을 추구하며 함께 변화를 주도하자는 것입니다.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여러 나라에서 기념행사도 열렸습니다.
미국은 3월 한 달을 ‘여성 역사의 달(Women’s History Month)’로 지정하고, 미국 사회에 공헌한 여성들의 업적을 기리고 기념합니다.
한국에서는 1985년 제1회 세계 여성의 날 행사를 가진 것을 시작으로 올해 38회를 맞아 한국 여성단체협의회 주관 행사 등 곳곳에서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북한도 이날은 ‘국제부녀절’로 기념하고 있는데요. 북한은 특히 이날이 공휴일로 지정돼 있습니다.
“지구의 반은 여성”
시계 초침이 움직일 때마다 지구상의 인구도 쉴 새 없이 늘어납니다. 지난해 11월, 유엔은 세계 인구가 80억 명을 돌파했다고 공식 발표했는데요. 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Worldometer)’에 따르면, 그 후 약 넉 달 새 2천만 명 이상 늘었습니다.
흔히 지구의 반은 남성, 지구의 반은 여성이라고들 하는데요. 그러면 남성과 여성의 수는 세간에서 말하는 것처럼 정말 절반 정도일까요?
‘세계은행(World Bank)’이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 세계 인구는 7억8천900만 명이었는데요. 남성이 3억9천700만 명으로 50.3%, 여성이 3억9천200만 명으로 49.7%으로, 실제로 거의 비슷했습니다.
물론 나라별 성비는 각국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는데요. 하지만 세계적으로 볼 때 남녀 간 성비는 꾸준히 비슷한 흐름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면 여전히 정치, 사회 전 분야에서 여성의 참여는 제한적이고, 동등한 기회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세계 여성의 날이 있다면 세계 남성의 날도 있는지 궁금하신 분도 있을 텐데요. 네. 11월 19일이 세계 남성의 날입니다. 1990년대 시작된 이날은 유엔이 지정한 공식 기념일은 아닌데요. 하지만 전 세계 약 80개국이 이날을 기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뉴스의 화제 인물을 소개하는 ‘뉴스 속 인물’ 시간입니다. 오늘 주인공은 유럽연합(EU)을 이끌고 있는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입니다.
유럽연합(EU) 행정수반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이 지난 8일부터 미국을 방문중입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1958년생으로 올해 64세의 독일인입니다.
하지만 출생지는 벨기에입니다. 독일의 고위 정치인이었던 아버지가 벨기에에서 근무하던 중 태어났기 때문입니다.
런던정경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했지만, 진로를 바꿔 독일 하노버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의사로 일했습니다.
1986년 역시 의사인 하이코 폰데어라이엔 씨와 결혼했고요. 현재 슬하에 7남매가 있습니다.
결혼 생활 중 1992년부터 1996년까지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교수로 부임한 남편을 따라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살기도 했습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릴 적부터 정치에 관심이 많았다고 합니다. 1990년에는 독일의 대표적인 정당의 하나인 기독민주당(기민당)에 가입했고요. 정당과 지역 정치에 활발하게 참여했습니다.
2003년 주 의원에 당선되며 정치 무대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데요. 이후 앙겔라 메르켈 총리 정부에서 2005년부터 2009년까지는 가족청소년부 장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노동사회부 장관, 2013년부터 2019년까지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습니다.
그리고 2019년 7월에는 EU 행정수반인 EU 집행위원장에 선출되는데요. 이로써 EU 역사상 최초의 여성 집행위원장이라는 기록을 갖게 됩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취임 후 몇 달도 안 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이라는 큰 도전을 맞았습니다. 하지만 과감한 결단력과 지도력으로 EU가 위기에서 벗어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는데요. 한고비를 넘겼지만, 지금은 우크라이나 전쟁이라는 또 하나의 도전을 맞아 EU의 결집을 끌어내고 있습니다.
뉴스 따라잡기 오늘은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그 유래와 배경 등을 살펴봤고요. 뉴스 속 인물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에 관해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