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총리가 유엔총회 연설을 통해 북한과의 정상급 관여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을 제한하는 등 안보리 개혁의 필요성도 역설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9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조건 없이 만나겠다고 재차 밝혔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유엔총회 일반토의 연설에서 “일본의 대북정책은 변하지 않았다”며 “일본은 일본-북한 평양선언(북일 평양선언)에 따라 납치와 핵, 미사일 문제는 물론 불행한 과거사 합의와 같은 미해결 우려 사안을 포괄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통해 북한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기시다 총리 (영어통역)] “Japan's policy on North Korea remains unchanged. Japan seeks to normalize it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Japan-DPRK Pyongyang Declaration, through comprehensively resolving the outstanding issues of concern such as the abductions, nuclear and missile issues, as well as settlement of our unfortunate past.”
그러면서 “새로운 시대를 함께 열어간다는 관점에서 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언제든 조건 없이 마주 앉을 수 있다는 의지를 전한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기시다 총리] “From the perspective of opening up a new era together, I would like to convey my determination to meet with President Kim Jong-un face to face at any time without any conditions, and would like to hold high-level talks under my direct supervision to realize a summit meeting at an early time.”
이어 조속한 시일 내 정상회담을 실현하기 위해 총리 직할 고위급 회담을 개최하고자 한다고 기시다 총리는 덧붙였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해 유엔총회 일반토의 연설에서도 “일본은 상호 관심사에 관한 대화에 준비돼 있다”며 “김정은 위원장과 조건 없이 만날 것이고, 헌신적으로 행동할 어떤 기회도 놓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또 지난 5월엔 납북 일본인 관련 집회에 참석해 “김정은 위원장과 조건 없이 만날 수 있다”고 말했고, 북한 외무성은 이틀 뒤 “일본이 변한다면 만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두 정상의 만남과 관련한 가시적인 움직임은 아직까지 없는 상태입니다.
한편 기시다 총리는 이날 연설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개혁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세계는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우리는 오늘날의 세계를 반영하는 안보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본은 안보리 내 아프리카 대표성 강화와 상임이사국과 비상임이사국 확대의 필요성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기시다 총리 (영어통역)] “The world is changing dramatically. We need a Security Council that reflects the world today. Japan supports increased representation of Africa and the need to expand both the permanent and non-permanent membership of the Council. Looking ahead to next year's Summit of the Future and the subsequent 80th anniversary of the UN, now is the opportunity to move to concrete action.”
이어 “내년 ‘미래 정상회의’와 그 다음 해 유엔 80주년을 앞둔 상황에서 지금이 구체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사용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기시다 총리 (영어통역)] “Initiatives to limit the use of the veto, which exacerbates division and confrontation in the UN, will strengthen and restore confidence in the Security Council. Japan will also continue its efforts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discussions in the Security Council, including by improving access to deliberations in the Security Council for member states other than the permanent members.”
“유엔의 분열과 대립을 악화시키는 거부권 사용을 제한하는 이니셔티브는 안보리에 대한 신뢰를 강화하고 회복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이어 “일본은 비상임 이사국들을 위한 안보리 논의 접근 개선 등
안보리 논의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계속할 것”이라고 기시다 총리는 강조했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에 대응해 여러 차례 회의를 개최했지만 거부권을 지닌 상임이사국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구체적인 조치를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5월 유엔 안보리는 3월 24일 이뤄진 북한의 ICBM 발사에 대응한 새 제재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지만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채택이 무산된 바 있습니다.
안보리 결의는 5개 상임이사국의 반대 없이 15개 이사국 중 9개국 이상이 동의해야 채택됩니다.
앞서 유엔총회는 지난해 4월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행사로 특정 안보리 결의안이 통과되지 못할 경우 해당 상임이사국이 총회에 출석해 반대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는 ‘제 76차 유엔총회 결의 262호(76/262)’를 채택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유엔총회는 지난해 6월 해당 결의 채택 후 첫 거부권 행사 사례인 ‘대북 결의안’을 주제로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주요국들은 중국과, 러시아를 규탄하고 안보리 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반면 이날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을 비판을 하지 않은 채 오직 미국이 이번 사태에 책임이 있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