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회사가 북한 라진항에서 중국으로 석탄을 운송해 줄 선박을 아직도 수배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벌써 3번째 공고문을 배포했는데 그만큼 선박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지난 1일 또다시 선박 업계에 북한에서 중국으로 석탄을 운송할 선박을 찾는다는 ‘선박 수배 공고문’이 배포됐습니다.
러시아 회사의 의뢰를 받은 선박 브로커가 지난달 첫 공고문을 낸 이후 이번이 3번째입니다.
공고문에는 러시아산 석탄 1만5천t을 북한 라진항에서 중국 다롄항으로 운송해 줄 선박을 물색 중이라는 기존과 동일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특히 날씨가 허용하는 선에서 주말에도 선적과 하역 작업이 모두 이뤄질 수 있다는 문구와 함께, ‘ppt’ 즉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운송을 희망한다는 내용이 적시됐습니다.
이번 석탄 운송이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러시아 외무부가 유엔 안보리에 석탄 채굴 기업과 중국 내 구매자와 수취인, 중국의 하역 항구, 선박의 이름 및 북한에서의 선적 날짜와 중국에서의 하역 날짜 등을 통보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같은 공고문이 배포되면 전 세계 선박 회사나 선박을 빌려 운항하는 용선업자들은 해당 브로커에게 입찰하고, 이후 조건이 가장 좋은 선박에게 운송 기회가 돌아갑니다.
실제로 브로커는 이번 공고문에서 선박 업계 관계자들이 “곧 연락해주기를 바란다”며 “가장 좋은 조건으로 입찰해 달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VOA는 지난달 8일 선박 브로커가 이메일과 왓스앱 메시지 등을 통해 선박 업계 관계자 등에게 배포한 공고문을 입수해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후 브로커는 해당 거래가 불법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는 내용의 공고문을 재차 발송했습니다.
특히 2차 공고문은 출항지와 목적지 그리고 선적 내용물 등 필요한 정보만을 간략하게 담는 통상적인 선박 수배 공고문과 달리 장황한 배경 설명으로 가득한 점이 주목됐습니다.
이에 대해 당시 선박 업계 관계자는 VOA에 “선박 수배가 안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었습니다.
북한에서 석탄을 싣는다는 점이 선박 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해 운송 계약이 쉽게 맺어지지 않고 있다는 설명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3차 공고문이 발송되면서 이 같은 추정에 더욱 힘이 실리게 됐습니다.
3번씩이나 공고문이 배포된다는 것은 아직까지 선박 수배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지난 2017년 북한산 석탄 수출 금지를 담은 결의를 채택하면서, 북한과 러시아가 합작으로 운영하는 ‘라진-하산’ 일대에서 선적되는 러시아산 석탄에 대해선 제재 ‘예외’가 인정된다고 명시했습니다.
따라서 공고문이 명시한 석탄 1만5천t이 실제로 러시아산이라면 이는 유엔의 제재 대상은 아닙니다.
그러나 선박 업계는 자칫 북한으로 입항했다가 미국 등 일부 나라로부터 독자 제재를 받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한국과 일본 등 일부 국가들은 북한에 기항한 선박의 자국 입항을 일정 기간 금지하고 있는데, 이는 선주들이 북한발 화물을 맡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로 이어졌다는 게 선박 업계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실제로 VOA는 2019년과 2020년 여러 차례에 걸쳐 라진항에서 러시아 석탄을 선적해 중국과 베트남 등으로 운송해줄 선박을 찾는다는 내용을 담은 ‘선박 수배 공고문’을 확보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 취재 결과 이들 러시아 석탄은 어떤 배에도 실리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박들이 나서지 않으면서 수출 자체가 무산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에도 사실상 같은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당초 라진항을 통한 러시아 석탄 수출은 한국과 러시아의 합의로 시작됐습니다.
두 나라는 지난 2013년 11월 러시아 광물을 라진항으로 운송한 뒤 다시 한국으로 보내는 ‘라진-하산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한국이 2016년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따른 독자 대북 제재의 일환으로 북한에 정박한 선박에 대한 입항 금지를 결정하면서 이 프로젝트는 중단됐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