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이달로 예고한 노동당 3차 전원회의에서 지난 1월 새로 만들어진 ‘제1비서’를 누구로 정할지 관심입니다. 전문가들은 제1비서의 역할은 2인자 역할보다는 김정은 총비서의 정책 추진과 결과에 대한 책임과 부담을 분산시키려는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서울에서 김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형진 / 영상편집: 강양우)
최근 VOA가 입수한 지난 1월 개정 북한 노동당 규약에는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제1비서와 비서들’을 선출한다고 돼 있습니다.
신설된 제1비서 직책은 ‘총비서의 대리인’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김정은 총비서의 위임을 받아 회의 주재 등 실무를 맡아볼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한국 언론들이 대북소식통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제1비서직은 김정은 총비서가 2012년 자신의 아버지 김정일을 ‘영원한 총비서’로 추대하면서 2016년까지 사용했던 직책이기도 합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1인 수령 체제인 만큼 제1비서가 2인자로서의 막강한 실권을 가질 가능성은 없으며, 김정은 총비서에게 몰려 있는 업무를 제1비서가 분담하고, 책임도 분산하려는 목적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박원곤 /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1인 지배 체제에서 2인자라는 것은 언제든 1인자한테 도전 가능한 잠재적 경쟁자 될 수 있거든요. 그런 상황을 감안할 때 과연 지금 신설하는 제1비서가 2인자 자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인가는 (의문입니다.) 북한이 이른바 삼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 어려움에 대한 책임도 좀 분산하는 그런 의미에서...”
김정은 총비서가 책임을 분산하는 이유로는 결점 없는 지도자로 자신을 자리매김하기 위한 수순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실무 부담을 대리인인 1비서에게 넘기면서 결과에 대한 책임도 지게 하려 한다는 것입니다.
박형중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실무에 나서게 되면 궂은 일을 해야 하고 실패할 가능성도 있는데 이 실무 부담을 총비서의 대리인에게 위임해서 실무자 제1비서가 여러가지 정책적으로 궂은 일도 하고 거기에 대한 책임도 지도록 하는 것. 대신 김정은은 건강을 관리할 수 있고 상징적인 ‘무오류의 수령’으로 남고…”
박형중 연구위원은 그러면서 상대적으로 경험과 경륜이 부족한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 부부장이 제1비서에 오를 가능성은 적다고 예상했습니다.
제1비서 자리는 향후 장기간의 권력승계 과정을 고려한 위기관리 차원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신범철 / 경제사회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김정은 위원장의 건강상태 좋지 않을 때 갑작스럽게 사고가 생겼을 때 북한 정권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거죠. 과거 보면 북한 체제가 김일성에서 김정일로 넘어갈 때 20여년 이상의 장기간의 권력승계 작업이 있었고 김정일에서 김정은 위원장으로 넘어갈 때도 3년 이상의 권력승계 작업이 있었던 것이죠.”
아직 북한 매체 등에서 제1비서 직함이 등장하지 않아 실제 임명 여부나 임명이 됐다면 누가 됐는지는 분명치 않습니다.
임명이 됐다면 김 총비서의 최측근이자 핵심 실세인 조용원 당 조직비서 겸 정치국 상무위원일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례적으로 넉 달 만에 다시 예고한 이달 전원회의에서 제1비서가 결정돼 발표될지 주목했습니다.
김 총비서가 한동안 전면에 나서지 않았던 만큼, 3차 전원회의에서 제1비서에 대한 언급이 나올 가능성이 작지 않다는 분석입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시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