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조 바이든 새 행정부의 외교라인 전면에 북한 문제에 깊숙이 관여했던 한반도 전문가들이 포진했습니다. 한국의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향후 미국과의 협상에서 북한이 긴장할만한 진용으로 평가했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26일 의회 인준을 받은 데 이어 미-한 관계와 대북 문제를 다룰 미국의 조 바이든 새 행정부의 외교 고위직들도 속속 채워지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안보 라인의 두드러진 특징은 과거 한반도 문제를 직접 다뤄본 전문가들이 전면에 포진했다는 점입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NSC를 총괄하는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은 과거 국무장관 비서실장,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내며 대북 문제를 경험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오바마 행정부 말기 국무부 부장관으로서 대북 ‘전략적 인내’ 정책에 깊숙이 관여한 인물이고, 웬디 셔먼 부장관 지명자는 클린턴 행정부 때 국무부 대북정책조정관으로 활동하면서 당시 국무장관과 평양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면담했습니다.
성 김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대행은 향후 ‘대행’ 꼬리표를 뗄지 유동적이지만, 동아태 부차관보와 대북정책특별대표, 6자회담 수석대표를 거친 ‘북핵통’이고 2018년 1차 미-북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 투입되기도 했습니다.
정 박 동아시아태평양담당 부차관보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미 중앙정보국, CIA와 국가정보국, DNI에서 북한 담당 선임분석관으로 근무했던 북한 전문가입니다.
특히 지난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분석한 ‘비커밍 김정은’이라는 제목의 저서를 출간하기도 했습니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는 이들이 북한 문제에 정통하면서도 북한의 2012년 2〮29 합의 파기 등을 경험하면서 북한에 대한 불신이 깊어졌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박원곤 교수] “한반도, 북한 문제에 상당히 정통하다, 실질적인 경험도 적지 않게 있다라는 거고요. 두 번째는 북한을 신뢰하지 않는다, 그게 그 사람들의 기본적인 경험에 따라서 나오는 것이고 또 공통적으로 비핵화 의제에 대해서 전문성이 있다 그렇게 큰 틀에선 평가할 수 있겠죠.”
한국 외교부 산하 국립외교원 김현욱 교수는 “바이든 행정부의 새 외교라인은 북한에 대한 인센티브 보다는 제재와 압박을 통해 유리한 협상을 이끌려는 성향의 사람들”이라며 북한에게 쉽지 않은 협상을 예고하는 진용”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현욱 교수] “지금 미국 내에서 북한은 이란과 다르기 때문에 북한과의 협상을 위해선 보다 현실적인 협상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연합훈련 중단이나 전략무기 한반도 출현을 스톱시킨다든지 이런 식으로 해서 북한과의 협상카드를 쓰진 않을 것 같아요. 그런 인사들은 전부 빠졌어요.”
민간 연구기관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신범철 외교안보센터장은 블링컨 장관과 셔먼 부장관, 설리번 보좌관 등이 모두 이란 핵 합의에 관여했다며, 비핵화를 전제로 한 합의였다는 점에서 북한과의 협상 또한 이런 기조로 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습니다.
우정엽 세종연구소 미국연구센터장도 북한이 미국에 선제적인 양보를 바라면서 군축 협상으로 몰고 가려고 하지만 바이든 외교라인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에 대한 우선 합의를 추구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택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녹취: 우정엽 센터장] “북한이 어떻게 협상을 할 것이냐 하는 것과 그 다음에 이 사람들은 트럼프와 전혀 다르게 하룻밤 만에 협상이 된다는 건 전혀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아무리 낮은 단계의 비핵화 협상이라고 하더라도 최종 목적지는 완전한 비핵화가 합의가 돼야 하는 거죠.”
전문가들은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추가 인선 등의 변수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한반도 업무를 포괄적으로 맡는 동아태 담당 부차관보가 대북정책의 주요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정 박 부차관보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정 박 부차관보는 북한체제에 대한 불신이 깊고 정책적으론 제재와 압박을 통한 완전한 비핵화 추구, 그리고 북한 문제의 근본 해결책이 레짐 체인지, 즉 체제 전환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대북 강경파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미국의 대부분의 외교안보 관료와 전문가들의 생각과 별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원칙을 중시하는 북한 전문가라는 평가도 나옵니다.
신범철 센터장은 정 박 부차관보가 학자 출신으로, 그동안 쓴 글들을 보면 북한 비핵화와 인권 개선을 위한 원칙적 입장을 견지해왔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신범철 센터장] “북한 비핵화를 볼 때는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대해서 끊임없이 의심하면서 철저한 검증을 강조해왔고요,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핵 문제나 다른 북한 협상 문제와 관련해서 인권 문제를 양보해선 안된다, 따라서 북한 비핵화와 인권 문제를 함께 추진해야 한다 이런 입장을 견지해왔던 거죠.”
박원곤 교수는 성 김 차관보 대행과 정 박 부차관보가 한국말에 능한 한국계인데다 경험과 연구를 통해 북한 문제에 정통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북한이 오히려 긴장해야 할 요소라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