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두 달여 동안 북한 남포 유류 항구에 최소 18척의 유조선이 입항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남포에는 새로운 유류 탱크가 등장하고 서해상에서는 유엔의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 유조선의 운항 장면이 포착되는 등 북한의 유류 관련 활동이 급증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지난 8일 북한 남포 유류 하역시설 일대를 촬영한 ‘플래닛 랩스’의 위성사진입니다.
길이가 약 70미터인 유조선이 바다 쪽으로 길게 뻗은 남포 유류 하역 부두 5개 중 한 곳에 선체 가운데 부분을 밀착시키고 있습니다.
나흘 전인 4일까지만 해도 텅 빈 곳이지만, 이날은 새로운 유조선의 유류 하역 장면이 포착된 것입니다.
VOA가 과거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남포 유류 항구에는 해빙기인 3월에만 8척의 유조선이 입항했습니다.
이후 4월엔 7척, 5월엔 8일 현재 3척의 유조선이 드나드는 등 지난 70여 일 동안 최소 18척이 발견됐습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은 유조선 1척이 실을 수 있는 유류 양을 선박에 따라 1만에서 3만 배럴로 추정했는데, 이를 유조선 18척에 적용하면 이 기간 북한이 확보한 정제유는 최소 18만 배럴에서 54만 배럴이라는 계산이 가능합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2017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러시아와 중국까지 만장일치로 채택한 결의 2397호를 통해 북한의 정제유 수입 한도를 연간 50만 배럴로 제한했는데, 최근 상황은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면서 정제유를 취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존 커비 /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 (지난 2일)
“3월에만 러시아는 북한에 16만 5천 배럴 이상의 정제유를 선적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상업 항구가 가깝다는 점을 감안하면 러시아는 이런 선적을 무한정 지속할 수 있습니다.”
북한 남포항 인근에서는 새로운 유류 저장탱크도 확인됐습니다.
앞서 VOA는 지난 2월 플래닛 랩스의 위성사진을 분석해 남포 유류 탱크 지대 남쪽 한 지점에 원형 형태의 굴착 작업 흔적 2개를 포착했는데, 이 중 1개에 유류 탱크가 완공된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북한이 최근 몇 년간 이 일대에 유류 저장 시설을 꾸준히 확충하면서 2018년까지 약 20개였던 유류 탱크는 현재 35개로 늘었습니다.
북한이 유류 탱크와 유조선 접안 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는 것은 러시아로부터 연간 한도를 초과하는 유류를 공급받아 유류의 비축량을 늘리려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런 가운데 유엔 안보리 대제 대상인 북한 유조선 유선호가 현지 시각 9일 새벽, 북한과 중국 사이 해역에서 중국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선박 위치정보를 보여주는 마린트래픽에서 포착됐습니다.
유선호 등 북한 유조선 27척은 유엔 안보리 제재에 따라 사실상 북한 해역을 벗어날 수 없지만 지난해부터 중국과 러시아 인근 해역에서 꾸준히 발견되고 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