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방식이 국경 봉쇄와 격리 조치를 앞세우고 있지만, 보다 더 과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확한 전염병 실태를 공개하고 국제사회와 협력하는 보다 효과적인 방역을 펼쳐야 한다는 겁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영상취재: 이상훈 / 영상편집: 강양우)
북한이 대북 제재에 따른 경제난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최근 수해까지 덮친 ‘삼중고’를 겪으면서도 문을 더 굳게 걸어 잠그는 모습입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코로나바이러스 방역을 이유로 외부 세계의 수해 복구 지원을 받지 말라고 지시한 가운데, 유엔아동기금, 유니세프는 최근 북한이 신종 코로나 유입을 막기 위해 올 연말까지 국경 통제와 이동 제한 조치를 이어갈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방역과 의료 체계가 열악한 북한 당국으로서는 국경 봉쇄가 전염병에 대응하는 최선책일 수 있겠지만, 상황이 장기화하는 만큼 보다 현실적인 대응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그런 대응책 중의 하나로 최장 40일에 달하는 격리 기간을 줄이고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방역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지원 물자까지 코로나바이러스 전파 대상으로 삼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국제사회의 기준이 되고 있는 2주 격리로도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북한 당국은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박기범 / 재미한인의사협회 북한담당 국장
“북한 당국의 더 나아간 조치는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했다기 보다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더 많은 피해를 야기할 수 있죠. (지원 물자) 화물에 대한 격리 조치도 과학적 관점에서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박 국장은 그러면서 두려움에 입각한 과도한 조치보다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대응이 효과적이라는 점으로 북한 당국을 설득하면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박기범 / 재미한인의사협회 북한 담당 국장
“북한의 봉쇄조치로 인도적 지원 활동도 제약을 받고 있는데 지원사업이 전염병 유입없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줘야 합니다.”
북한이 국경 봉쇄를 체제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고난의 행군으로 불리는 1990년대 대기근도 이겨 냈다면서 오히려 체제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국경 차단’ 조치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최정훈 / 고려대 공공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반 년 넘게 봉쇄를 하고 있는데 선택의 여지가 없어요. 통제만이 방법이고 또 북한이니까 가능합니다. 대기근 대아사 그걸 거치면서 북한 체제와 북한 주민들은 나름의 그 어떤 적응 능력이 생긴겁니다. 주민들의 생활이라든가 건강과 생명에 관심을 전혀 두지 않아도 북한 주민 스스로가 그냥 살아왔던 것 아니에요.”
북한이 봉쇄한 문을 열고 국제사회와 협력한다면 전염병 방역에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도 이어집니다.
로버트 코헨 전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는 평양 주재 세계보건기구 WHO도 북한 내 코로나 상황을 정확하게 알고 있지 못한다면서 최고의 코로나 대응책은 북한이 솔직하게 관련 정보를 공개해 대응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코헨 전 부차관보는 그러면서 북한 당국이 더 신속하게 개방하고 관리에 나설수록 북한 주민들의 상황은 나아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