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WFP 25년간 대북 식량지원…북한 ‘폐쇄성’ 문제”


[VOA 뉴스] “WFP 25년간 대북 식량지원…북한 ‘폐쇄성’ 문제”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08 0:00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 WFP가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면서 새삼 북한 내 활동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WFP는 최대 대북 인도적 지원 기구로 25년에 걸쳐 적어도 460만 톤 이상의 식량을 지원하는 등 여러 활동을 하고 있는데 문제는 북한 당국의 폐쇄성으로 분배 등 접근의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 지적됩니다. 오택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강양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 백신이 나오기 전까지 식량은 혼돈에 대처하는 최고의 백신이다”

노벨위원회가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세계식량계획 WFP를 선정하면서 강조한 이 표현은 WFP의 역할과 역량을 잘 대변하고 있습니다.

1961년 유엔총회 결의로 창설된 WFP는 작년에만 전 세계 88개국, 거의 1억 명에 달하는 취약 인구의 식량 안보와 영양 개선을 지원했습니다.

특히 2030년까지 기아 없는 세상을 목표로 올해는 49개 취약국을 별도로 지정해 빈곤과 불평등 종식을 위해 노력 중인데, 1995년 이른바 고난의 행군 시절로 대기근을 겪던 북한을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WFP는 지난 2019 보고서에서 1995년 첫 대북 지원을 시작한 이후 2018년까지 460만 톤의 식량을 긴급구호 활동을 통해 북한에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대북 지원을 하는 국제기구와 인도주의 단체들 가운데 최대 규모로 WFP는 지속적인 식량과 곡물 상황 평가를 통해 사실상 대북지원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런 식량 상황 평가를 통해 해마다 국제사회에 북한 내 인도적 상황이 여전히 암울하다고 말했습니다.

엘리자베스 바이어스 / 세계식량계획 WFP 대변인

“북한에서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인구는 1천만 명이 넘습니다. 전체 인구의 거의 40%에 달합니다.”

WFP는 또 2021년까지 영양과 재난위험 완화 위기 대응 등 세 분야에 대북 지원 사업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임산부 등 취약 여성과 어린이들의 영양 문제에 대해 우려하며, 이들 1백만 명에게 필수 영양분이 함유된 식품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북한 지원에는 북한 내 폐쇄적인 문제로 많은 어려움이 따릅니다.

특히 최근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정치적 이유 등으로 북한 당국의 협력이 약화하면서 ‘접근이 없으면 지원도 없다’는 WFP의 분배 원칙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비드 비슬리 WFP사무총장은 지난 6월 화상 토론회에서 이런 어려움을 지적하며 북한 내 제한된 접근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세계식량계획 관계자들은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대북 지원사업을 중단하지 않고 있으며 이번 노벨평화상 수상은 열악한 상황에서 일하는 요원들에게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오택성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