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북한 적공국 장교…러시아 북한 영사관에 감금”


[VOA 뉴스] “북한 적공국 장교…러시아 북한 영사관에 감금”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49 0:00

러시아에 파견된 뒤 자유를 찾아 탈출한 북한의 파견 요원들이 지속적으로 납치 감금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대외 사이버전을 담당하는 북한 적공국 소속 IT 정보 담당 최금철 소좌가 유엔에 망명을 신청하려다 납치돼 넉 달째 북한 외교공관에 감금돼 있다고 러시아 소식통이 VOA에 밝혔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단도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러시아에 파견된 뒤 자유를 찾아 탈출한 북한의 파견 요원들이 지속적으로 납치 감금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대외 사이버전을 담당하는 북한 적공국 소속 IT 정보 담당 최금철 소좌가 유엔에 망명을 신청하려다 납치돼 넉 달째 북한 외교공관에 감금돼 있다고 러시아 소식통이 VOA에 밝혔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단도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러시아에서 북한 인력의 활동이 가장 활발한 곳 중 하나인 블라디보스토크의 북한 영사관입니다.

러시아 상황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은 최근 VOA에, 북한 적공국 소속 563부대 소속 최금철 소좌가 유엔에 망명을 시도하다 납치돼 이곳 지하와 근처 시설에 넉 달째 감금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평양의 수재들이 다니는 학교 금성학원과 김책공대 박사원 출신으로, IT-정보기술 암호화 전문가로 알려진 최 소좌는, 중국 등 여러 외국파견 근무를 거쳐 2019년부터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적공국 지국에 파견돼 외화벌이와 정보 활동을 병행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소식통들은 최 소좌가 내부 책임자와의 불화, 김정은 정권에 미래를 기대하기 힘들다며 지난해 7월 탈출한 뒤 모스크바의 유엔 난민기구(UNHCR)에 망명 신청을 준비하던 중 9월 20일 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차로 1시간 정도 떨어진 라즈돌노예에서 러시아 경찰 5명에 체포된 뒤 실종됐다고 전했습니다.

러시아 소식통 A 씨

“석 달을 안심했었는데 9월 20일 이 친구로부터 문자가 온 거예요. 밖에 경찰이 와 있다고. 경찰이 5명이 왔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그 친구가 살려달라고 막 연락이 왔는데 그다음부터 연락이 안 됩니다.”

VOA가 입수한 최 소좌의 여권 등 자료를 보면, 올해 33살의 최 소좌는 북한 IT 인력을 가르칠 정도의 해박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정찰총국과 북한 대외 사이버전의 두 축을 이루는 적공국의 주요 해외 활동에 깊이 관여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영사관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최 소좌와 북한 유학생 등 적어도 3명이 영사관이 관리하는 시설들에 구금돼 있다면서 북한 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이유로 해외 북한인들의 귀국을 금지하고 있어 북한으로 송환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 B 씨

“최금철이라는 분과 같이 다 해서 3명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더 있을지도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 안타깝죠. 아무래도 다시 잡힌다는 게 죽으러 가는 것과 같은데 앞으로의 운명이 완전히 바뀌는 것과 같으니까.”

소식통들은 최 소좌가 북한 적공국의 해외 해킹과 반탐 활동 즉 밀정과 관련해 많은 정보를 갖고 있어 북한 당국이 그의 체포에 심혈을 기울인 것으로 안다면서 지난 넉 달 동안 최 소좌의 석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지만 모두 허사로 돌아가 국제사회를 통해 러시아의 최 소좌 송환을 막도록 그의 신상과 배경을 공개했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 소식통 A 씨

“김정은 정권은 국민들한테 거짓말하고, 맨날 독재하고. 김정은 독재 정권에 자기의 젊은 청춘을 희생하고 싶지 않다고 그러더라고요. 자기도 자유세상에서 행복하게 잘 살고 싶은 게 꿈이라고 그러더라고요.”

러시아 정부는 중국과 달리 탈북민이 난민 신청을 할 경우 범죄 혐의가 없는 한 강제로 북송하지 않고 국내법과 국제 인도적 절차를 따르고 있지만, 극동지역에서는 당국자와 경찰이 뇌물을 받고 탈북민을 체포한 뒤 북한 당국에 넘기는 사례가 지속되고 있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VOA는 최금철 소좌와 관련해 러시아 외무부와 모스크바의 유엔 난민기구 사무소에 확인을 시도했지만, 7일 현재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