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 무력 강화와 도발 위협으로 한반도 긴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한국 외교장관과 미국과 중국의 외교장관 회담이 잇따라 열립니다. 미국과 한국은 북한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발신하면서 중국에 대해서도 북한의 도발 행위를 억제하는 역할을 끌어내기 위한 공조 외교를 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미국 국무부의 토니 블링컨 장관이 1일 미국을 방문한 한국의 박진 외교부 장관과 워싱턴에서 올해 첫 외교장관 회담을 갖습니다.
이번 회담은 미한동맹 70주년을 맞아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 강화 방안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며, 윤석열 한국 대통령의 올 상반기 미국 방문과 미한 정상회담 개최 문제도 주요 의제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이번 미한 외교장관 회담은 오는 5~6일 미중 외교장관 회담 직전에 이뤄져 북한 문제에 대한 미한 외교 공조에 관심이 모아집니다.
한국의 전문가들은 미한 양국이 블링컨 장관의 중국 방문에 앞서 북한의 핵과 도발 위협에 대한 공조를 확인하면서 미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다룰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역할 문제도 논의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박원곤 /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미·중 간에 만나서 매우 중요한 회담을 하는데 1차적으로 한국 정부 입장에서는 어쨌든 거기에 한반도 의제가 올라갔으면 하는 바람이 있고 두 번째는 거기서 한 발 더 진전돼서 어쨌든 미·중 간에 한반도 문제를 갖고 협력 공간을 만들었으면 하는 그런 입장을 전달하려고…”
또 이번 미한 외교장관 회담은 북한 핵 위협에 대한 미한 공조의 굳건함을 과시하고 강력한 대북 경고 메시지를 발신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홍민 /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블링컨 장관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만남들은 한국이 우려하는 확장억제력에 대한 강한 신뢰성을 부여하는 데 일단 초점이 있어 보이고 또 한편에서는 북한에게 한미가 얼마나 강한 억지 태세를 갖고 있는지를 강하게 어필하려고 하는 의미 그래서 향후 북한이 어떤 도발 계획을 갖고 있다면 그것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를 보내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전문가들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 이후 중국의 대미 태도가 유연해지는 양상이라며 전략경쟁 구도 속에서 북한을 두둔했던 중국이 미국의 중국 역할론에 열린 태도로 임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김현욱 / 한국 국립외교원 교수
“중국은 내부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게 부상할 수 있는 상황에서 그리고 미국의 대중국 공급망 구축, 디커플링이 심각하게 추진되는 상황에서 미국을 포함한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 매력 공세 쪽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있고 그런 차원에서 아마 미·중 간에 특히 미국 입장에선 북한의 도발 국면을 중국이 좀 잠재워주길 바라는 그런 협의가 진행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이번 미한 외교장관 회담에서는 또 미한일 3국 협력과 미한 간 인도태평양 전략 연계 문제가 다뤄질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중국도 북한의 핵 위협과 도발 행위가 미한일 안보협력을 자극하는 요인으로 보기 때문에 북한을 자제시킬 필요가 있다며, 북한 문제와 관련해 미·중 간 협력 가능 여부는 미한일 안보 협력의 방향성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VOA뉴스 조상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