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북한 만수대창작사 소속 작가로 추정되는 인물들의 작품이 다수 전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만수대창작사를 대북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유엔 안보리는 만수대 작가들의 해외 작품전시 활동에 대해 북한에 직간접적인 이득을 안길 수 있다고 경고해왔습니다. 단독보도, 김진희 기자가 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중국 장쑤성 우시시 문화예술연맹 등의 후원으로 지난 14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 열리는 ‘북한 현대 유화 명인전’입니다.
이 전시회에는 북한 유화 작가 13명의 작품 69점이 전시됐습니다.
VOA가 참여 작가 명단을 확인한 결과, 만수대창작사 소속 작가로 알려진 김기철, 정영화 등 2명의 이름이 포함돼 있었습니다.
1991년 북한 예술가들에게 수여되는 최고등급 훈장인 공훈 예술가 칭호를 받은 김기철은 현재 평양미술대 교수로 재직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난 2009년 호주 브리즈번 소재 국립미술관인 퀸즐랜드 아트 갤러리가 주최한 전시회에 만수대창작사 소속으로 작품을 출품해 대외에 소속이 알려졌습니다.
1992년 공훈 예술가 칭호를 받은 정영화 역시 만수대창작사 소속 작가로 각종 선전화와 유화 창작 분야에서 북한을 대표하는 작가로 해외에 널리 알려진 인물입니다.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11명 가운데 상당수도 북한 내 최고 영예인 인민 예술가와 공훈 예술가 칭호를 받은 미술 작가들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2017년 채택한 대북 결의 2371호를 통해 만수대창작사를 제재 대상 기관으로 지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유엔 회원국들은 만수대창작사의 작품에 대해 자산동결 조치를 취해야 하고, 해당 작품을 구매하거나 소유, 이전하는 행위를 금지해야 합니다.
이번 전시회를 기획한 우시 박물관 측은 전시회 설명을 통해 북한 작가들의 작품 총 69점을 소장하고 있다고 밝혀 해당 작품을 북한 측으로부터 구입했거나 대여 또는 양도받는 등 유엔 대북제재를 위반했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 전문가 패널에서 활동한 후루카와 가쓰히사 전 위원은 25일 VOA에, 북한 만수대창작사 소속 예술가들은 이론의 여지 없이 안보리 대북결의 2397호가 지적한 노동자 범주에 해당한다며 이들의 활동은 제재 대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유엔 안보리 지정에 따라 만수대창작사와의 모든 거래가 전면 금지됐기 때문에 이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것만으로도 유엔 제재 조치 위반에 해당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노동당 39호실 산하 선박무역회사 부대표를 지내다 탈북한 이현승 글로벌피스 재단 연구원도 이날 VOA에 북한 내 거의 모든 예술가들은 모두 만수대창작사 소속이라면서, 북한 당국이 소속을 숨기는 등 제재를 우회하는 방식으로 이들의 해외 전시 활동을 돕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현승 / 글로벌피스재단 연구원
“어떤 개인이나 북한 회사도 국가의 상납금이라든지 이런 것을 바치지 않고 독단적으로 할 수는 없고. 전시회가 이뤄진다는 것 자체가 만수대창작사나 북한의 작품들이 계속 외부로 판매가 되고 있다는 하나의 증거가 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그런 판매가 이뤄지게 되면 그 돈은 고스란히 다 정권으로 간다고 보여집니다.”
이 연구원은 그러면서 북한이 해외에서 거부감이 있는 선전 사상용 작품 대신 풍경이나 인물 위주의 유화 작품을 해외 판매에 적극 이용하고 있는 만큼 북한 작가 작품의 중국 내 전시 및 판매에 대해 더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김진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