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북한 핵 문제를 해결되지 않은 집단적 실패 사례로 규정했습니다. 북한이 여전히 7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으며 언제든 실험이 가능하다는 입장도 재확인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5일 북한의 핵 문제를 대표적인 미해결 사례로 평가했습니다.
[녹취 : 그로시 사무총장] “You may see that still, we have unresolved cases where we are struggling with the possibility that countries may move from latency to reality. One big collective failure was the DPRK. Where up until 2006, North Korea did not have nuclear weapons. We were approaching them. And a number of initiatives including the Agreed Framework that was an incentive sort of team that would give North Korea some things including civilian nuclear reactors in exchange for them dropping their weapons program.”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날 호주 캔버라에 위치한 호주국립대학에서 열린 ‘IAEA 세이프가드의 미래와 세계 안보의 미래’ 강연에서, “일부 국가들이 잠재성에서 현실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우리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해결 사례들이 있다”며 북한을 거론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하나의 큰 집단적 실패는 북한이었다”며 “북한은 2006년까지 핵무기를 갖고 있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는 대가로 민간용 원자로 등 몇가지를 북한에 주는 일종의 인센티브를 제시했던 제네바 기본합의서를 포함한 다수의 계획들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2006년 북한의 첫 번째 핵실험의 결과로 이후 다섯 차례 핵실험이 뒤따랐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은 모든 사람들이 또 다른 북한의 핵실험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그 실험이 언제든 가능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녹취 : 그로시 사무총장] “And as a consequence of that 2006 the first nuclear weapon test to be followed by five more, and everybody seems to be waiting for another one, which could be any day. In any case, what we see is through satellite imagery is that they are preparing for that. We will see when that happens, but in any case, is a country that not so far away from you and is developing considerable nuclear arsenal.”
그로시 사무총장은 “우리가 위성사진을 통해 확인한 것은 북한이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언제 그런 일이 일어나는지 두고 보면 알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어쨋든 북한은 여러분에게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고 상당한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는 나라”라고 말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날 강연 직후 국제원자력기구(IAEA) 홈페이지에 공개된 보도자료를 통해서도 북한의 핵 활동에 대한 IAEA의 대비태세를 강조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 “It proved to have been a decisive finding; subsequently the DPRK developed a nuclear weapon programme and carried out its first nuclear test in October 2006. The DPRK has since been subject to UN sanctions, and the IAEA has not been present in the country for the past 13 years. The DPRK has continued to expand its nuclear weapons capability. There is no sign of resolution any time soon. The IAEA continues to observe the DPRK’s actions from outside its borders and maintains its enhanced readiness again to play its essential role in verifying the DPRK’s nuclear programme when that becomes possible.”
그로시 사무총장은 “북한은 2006년 10월 핵무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첫 핵실험을 했다”며 “북한은 그 이후 유엔의 제재를 받아왔고, IAEA는 지난 13년간 북한에 상주하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북한은 핵무기 능력을 계속 확장해 왔으며, 조만간 해결될 조짐도 보이지 않는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러면서 “IAEA는 국경 밖에서 북한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있으며, 가능하게 될 경우 북핵 프로그램 검증에서 다시 필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강화된 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앞서 여러 차례 북한의 7차 핵실험 징후를 포착했다며 우려를 나타낸 바 있습니다.
지난달 20일 공개된 한국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는 “북한이 최근 풍계리 4번 갱도 주변의 도로를 정비하고 있다”며 IAEA 분석에 따르면 북한이 4번 갱도를 재개방하는 데 두 달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또 “3번 갱도를 포함해 풍계리에서 이뤄지는 모든 활동은 연쇄 핵실험에 나설 수 있다는 징후와 일치한다”며 연쇄 핵실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또 지난달 6일에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IAEA 이사회 연설을 통해 “풍계리 핵실험장의 갱도 중 하나가 다시 개방된 징후를 관찰했다”며, 이는 “핵실험을 위한 준비일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또 이에 앞선 지난 5월 20일에도 일본을 방문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의 핵프로그램은 핵물질 증가와 농축시설 증가, 재처리 능력 확대, 7차 핵실험 수행을 위한 새 장소 확보 등 가능한 모든 방향으로 발전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IAEA가 입수한 위성사진에 따르면 북한의 과거 핵실험 활동과 비슷하거나 일치하는 정도의 중요한 활동이 관측되고 있으며, 이는 북한이 핵실험 재개를 결정할 시점에 근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VOA 뉴스 조상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