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한국, 일본, 호주가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대응해 동시에 대북 독자 제재를 단행한 데 대해 유럽연합(EU)가 “우리는 그 같은 결정에 주목한다”고 밝혔습니다.
유엔 산하 세계식량기구(WFP)가 국제 직원들이 북한에서 대북 사업 운영과 관련한 모니터링을 할 수 있을 때까지 대북 지원을 재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미국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외교관으로 꼽히는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이 100세를 일기로 타계했습니다. 미국의 전직 관리들은 역사적 경험과 혜안을 가진 뛰어난 외교관이었으며, 북한 문제와 관련해선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다고 회고했습니다.
탈북민 강제 북송에 반대하는 다자 공동성명이 조만간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한국 북한인권대사가 밝혔습니다. 중국에 대한 공개적, 직접적 비난보다 신중한 외교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내년 12개국에 외교 공관을 추가로 개설한다고 밝힌 가운데 해당 유럽 국가들은 한국과의 폭넓은 협력을 기대한다며 환영했습니다. 한국을 아시아 내 핵심 파트너로 지칭하면서 인공지능과 과학기술, 문화,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가속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카이스트와 홍콩과기대, 싱가포르국립대 등 국제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북한의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홍콩과기대의 박상윤 교수는 27일 VOA와의 인터뷰에서 기계와 인간의 협업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에서 대북제재로 대도시와 농촌간 경제 발전 격차가 심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보 반 트엉 베트남 국가주석이 27일 일본 도쿄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최근 한반도 정세 등을 논의했습니다.
미국과 유럽연합이 국제원자력기구 정기이사회에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며 무기 개발을 지속하는 북한을 규탄했습니다.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재확인하고 북한에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캐나다가 북한의 조직적인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스웨덴은 북한이 인권을 존중하고 보호할 국제법상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주요7개국(G7) 외교장관들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비판하며 국제 의무 준수를 촉구했습니다. 러시아의 핵과 미사일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될 가능성에 대한 깊은 우려도 표명했습니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은 22일 “북한이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군사위성을 발사한 것을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유럽연합은 북한이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감행한 데 대해 유엔 안보리 결의 준수를 촉구했습니다. 국제해사기구는 다음 주 열리는 총회에서 관련 문제가 논의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 들어 한국의 대미 투자가 크게 늘었다고 백악관이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양국 관계가 동등한 파트너로 격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합니다.
북한이 신형 중거리탄도미사일용 고체연료 엔진 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유엔과 유럽연합이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유럽연합이 탈북민 강제북송 문제에 대해 중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모든 유엔 회원국이 강제송환금지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는 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호주가 일본 인근 해역에 호위함을 배치해 북한의 불법 해상 활동을 감시했습니다. 호주의 이 같은 활동은 2018년 이후 10번째입니다.
북한의 뇌물 위험도가 또다시 전 세계에서 최악을 기록했습니다. 부패를 감독할 시민사회와 언론 자유가 없는 가운데 정부와 공공 부문 모두 뇌물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세계 지뢰 감시기구들이 북한에 대인지뢰 사용 중단과 매설된 지뢰 제거 작업 재개를 촉구했습니다. 국제사회의 독립적인 검증을 허용하고 대인지뢰협약에 가입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스웨덴 당국이 약 50년째 볼보로부터 수입한 자동차 대금을 갚지 않고 있는 북한과 정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5천 500만 달러였던 북한의 부채는 2억 5천만 달러로 늘었습니다.
유럽연합이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와의 협력은 테러를 지원하는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유엔 안보리 결의가 북한의 군사 장비 수출입을 금지하고 있다는 점도 상기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