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와 독일, 캐나다 등 주요 7개국(G7) 국가들이 북한의 장거리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하게 규탄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안보리 결의 위반을 지적하며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핵 프로그램 폐기를 촉구했습니다.
유엔이 북한의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재개를 강력 규탄했습니다. 나토는 북한의 역내와 국제 안보 훼손을 우려하며 무모한 행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오는 15일 한국을 방문하는 독일 외무장관이 긴밀한 양국 관계를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최근 미사일 발사가 역내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도 거론했습니다.
북한이 지난주부터 일방적으로 남북 정기 통화에 응하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유엔 사무총장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해 남북 통신채널 재가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유럽연합이 대북 인도적 지원에는 제재를 면제한다고 밝혔지만 달라진 것은 없다고 핀란드 지원 단체가 밝혔습니다. 이 단체는 북한의 국경이 여전히 닫혀 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라고 유엔 주재 미국 부대사가 지적했습니다. 특히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이 같은 행위에 대해 중대한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최근 공개 발간한 북한인권보고서가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평가했습니다. 증인과 피해자들의 안전 보장이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대북 지원단체들은 현재 북한의 인도적 상황을 악화시키는 것은 대북제재가 아니라 북한 당국의 국경 폐쇄 조치라고 지적했습니다. 간소화된 유엔 제재 면제 과정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가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한 것과 관련해 미 국무부는 끔찍한 북한 인권 실태를 지적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미국의 노력을 강조했습니다. 스웨덴은 북한이 국제법에 따라 인권을 존중하고 보호할 의무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슬로바키아 외무부는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를 주선한 자국민이 미국의 대북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데 대해 해당 사안을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다른 관련 당국과 조율 중에 있다는 점도 설명했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가 북한의 광범위하고 조직적인 인권 침해를 규탄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북한인권결의안을 다시 채택했습니다. 21년 연속 채택한 이번 결의안에는 정보 이용과 종교, 문화 등의 자유를 금지하며 극형에 처하게 하는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을 재검토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포함됐습니다. 한국은 5년 만에 초안 작성부터 공동제안국에 참여했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유엔 인권이사회가 북한의 조직적인 인권 침해를 규탄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내용의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한국은 5년 만에 결의안 공동제안국에 복귀했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가 21년 연속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한 데 대해 국제인권단체들이 중요한 조치라며 환영했습니다. 인권 유린 사실 자체를 부인하는 북한을 압박할 국제적 연대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일본 정부는 최근 이뤄진 한국 통일부 장관의 방일이 양국간 긴밀한 소통에 기여했다고 평가했습니다. 한일 관계 강화의 시급성도 강조했습니다.
제 52차 유엔 인권이사회 폐막을 앞두고 북한인권 단체들이 윤석열 한국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국군포로와 억류자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북한인권 결의안에 한국인 억류자 6명의 이름과 국적을 언급할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과 한국, 일본 3국 협력의 핵심 목적은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백악관의 커트 캠벨 인도태평양조정관이 밝혔습니다. 또 한일 관계 개선은 미국의 이익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윤석열 대통령의 선제적 조치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알래스카주 의회가 올해 70주년을 맞는 미한 동맹을 기념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미국 50개주 가운데 텍사스주에 이어 두 번째로, 양국 간 긴밀한 관계가 더욱 발전하길 기대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호주 국방부가 해상초계기를 파견해 2월과 3월 북한의 불법 선박 간 환적 등 대북제재 위반 감시활동을 벌였다고 밝혔습니다. 호주의 이 같은 작전은 지난 2018년 이후 11번 째입니다.
한국 정부가 처음으로 북한인권보고서를 공개한 것과 관련해 북한 반인도 범죄와 다른 인권 침해에 대한 책임추궁 노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미국 인권전문가가 평가했습니다. 국제사회가 대북 인권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미국 뉴욕시장이 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을 규탄하며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 앞 거리 이름을 ‘오토 웜비어 길’로 바꾸는 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웜비어 모친은 도로명 변경이 북한 정권에 책임을 묻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더 보기